이전으로

시멘트

시멘트

업종개요

광업

시멘트

시멘트 시멘트는 넓은 의미에서 물질과 물질을 접착하는 물질을 말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토목·건축용의 무기질의 결합경화제를 의미하며, 흔히 포틀랜드 시멘트라 한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성분은 석회·실리카·알루미나·산화철 등이며, 시멘트는 이것들을 함유한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충분히 혼합하여, 그 일부가 용융·소성된 클링커에 적당량의 석고를 가하여 분말로 만든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시멘트산업은 급속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주택, 도로 및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을 위한 중요한 국가기반산업으로 발전해왔다. ‘20년 기준으로 국내 클링커 생산은 41,894천 톤, 시멘트 생산은 47,518천 톤, 클링커 수출은 4,194천 톤, 시멘트 수출은 1,088천 톤 수준이다.

산업동향

국내 동향1)

시멘트는 넓은 의미에서 물질과 물질을 접착하는 물질을 말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토목·건축용의 무기질의 결합경화제를 의미하며, 흔히 포틀랜드 시멘트라 한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성분은 석회·실리카·알루미나·산화철 등이며, 시멘트는 이것들을 함유한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충분히 혼합하여, 그 일부가 용융·소성된 클링커에 적당량의 석고를 가하여 분말로 만든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시멘트산업은 급속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주택, 도로 및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을 위한 중요한 국가기반산업으로 발전해왔다. ‘18년 기준으로 국내 클링커 생산은 45,351천 톤, 시멘트 생산은 52,093천 톤, 클링커 수출은 4,287천 톤, 시멘트 수출은 1,156천 톤 수준이다.

1)참고 : 한국시멘트협회, “2015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6.,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연도별 시멘트 수급현황 (2018년 기준)

(단위 : 천대, 억불)

연도별 시멘트 수급현황 (2018년 기준)
구분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공급 생산 클링커 46,795 44,853 45,155 44,816 49,148 45,351
시멘트 51,653 47,420 46,862 47,048 56,507 52,093
수입 클링커 - - 2 15 63 -
시멘트 1,985 772 728 882 1,151 662
수요 출하 클링커 분쇄 43,044 40,162 38,729 38,879 45,943 41,731
내수 - - 887 727 743 661
수출 3,494 4,762 5,733 5,602 3,264 4,287
46,539 44,924 45,348 45,208 49,950 46,679
시멘트 내수 50,637 45,493 43,939 43,707 55,756 51,237
PC 41,041 38,597 33,821 34,841 45,172 41,802
SC 9,596 6,896 10,118 8,866 10,583 9,435
시멘트 수출 3,006 2,762 3,150 3,923 1,779 1,156
53,643 48,255 47,089 47,630 57,534 52,393
수출계(클링커 + 시멘트) 6,500 7,524 8,883 9,525 5,043 5,444
총출하(내수 + 수출) 57,137 53,017 52,822 256 60,798 56,681

*참고 및 재구성 : 한국시멘트협회 > 시멘트 통계 > 연도별 수급현황 > 2018년 연도별 수급현황 (2020.08.07. 조회 기준), (http://www.cement.or.kr/stati_2015/mm_pro_view.asp?sm=2_1_0).
**가동율 계산 = 클링커 생산량 / 클링커 생산능력 × 100
***지면상 현황은 짝수연도분을 제시함

연도별 시멘트 수급현황 (2018년 기준)

(단위 : 만 톤)

연도별 시멘트 수급현황 (2018년 기준)
구분 삼표 쌍용 한일 한일현대 아세아 성신 한라 한국 고려 대한 기타 합계
공급 생산 클링커 711 1,303 557 415 314 604 561 - 71 - - 4,535
시멘트 801 1,203 641 484 368 723 601 158 116 115 - 5,209
수입 클링커 - - - - - - - - - - - -
시멘트 - - - - - - - - 3 34 30 66
수요 출하 클링커 분쇄 671 1,005 568 416 319 605 454 65 70 - - 4,173
내수 183 478 - - - - - - - - - 661
수출 61 255 - - - - 113 - - - - 429
750 1,309 568 416 319 605 566 65 70 - - 4,668
시멘트 내수 798 1,003 633 485 359 723 605 158 119 211 30 5,124
PC 693 913 604 483 349 679 392 - 38 - 30 4,180
SC 105 90 29 2 10 44 214 158 81 211 - 944
시멘트 수출 12 101 0.7 - - 2 - - - - - 116
809 1,104 634 485 359 726 605 158 119 211 30 5,239
수출계(클링커 + 시멘트) 72 357 0.7 - - 2 113 - - - - 544
총출하(내수 + 수출) 870 1,360 634 485 359 726 718 158 119 211 30 5,668

*참고 및 재구성 :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가동율 계산 = 클링커 생산량 / 클링커 생산능력 × 100

국내 시멘트 산업에 대한 가장 최근 현황은 상기와 같이 한국시멘트협회 사이트상 2018년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하기에 제시한 상세현황 출처인 한국시멘트협회의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에는 2018년 발간된 2017년 기준 자료가 가장 최근연도 자료이니 이를 참고하도록 한다.

국내 시멘트 산업의 클링커 생산설비 및 가동현황(2017년 기준)

국내 시멘트 산업의 클링커 생산설비 및 가동현황(2017년 기준)
회사 생산량(톤) 생산능력(천 톤)      가동률(%)**
삼표 8,368,293 10,045 83.3
쌍용 12,801,029 15,326 83.5
한일 6,275,118 7,131 88.0
한일현대 4,245,513 6,864 61.9
아세아 3,697,568 4,146 89.2
성신 6,296,440 9,686 65.0
한라 6,274,739 8,184 76.7
고려 698,726 660 100.0
합계 48,657,426 62,042 78.4

*참고 및 재구성 :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가동율 계산 = 클링커 생산량 / 클링커 생산능력 × 100

클링커 생산능력현황 ('02~'17년)

(단위 : 천 톤, %)

클링커 생산능력현황 ('02~'17년)

*참고 및 재구성 :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클링커 수급 추이 ('04~'17년)

(단위 : 톤)

클링커 수급 추이 ('04~'17년)
연도 생산 출하 수입 재고
분쇄 내수 수출
‘04 48,251,140 48,104,322 46,684,313 - 1,420,009 21,750 1,323,676
‘05 43,070,969 42,195,077 40,249,698 - 1,945,379 - 2,301,236
‘06 42,723,260 43,778,424 41,568,354 - 2,210,070 - 1,239,211
‘07 46,293,240 46,202,370 43,983,878 - 2,218,492 - 1,326,902
‘08 46,794,815 46,538,810 43,044,487 - 3,494,323 - 1,607,113
‘09 44,774,389 44,645,351 42,560,330 - 2,085,021 - 1,779,715
‘10 44,853,095 44,923,699 40,161,790 - 4,761,909 - 1,700,865
‘11 45,280,804 45,533,173 39,998,746 53,258 5,481,169 2,360 1,504,810
‘12 45,154,987 45,169,820 38,728,735 707,905 5,733,180 1,920 2,064,439
‘14 44,815,936 45,207,598 38,878,711 727,014 5,601,873 15,177 1,773,901
‘15 47,015,261 48,290,355 42,865,039 978,731 4,446,585 - 1,374,106
‘17 48,657,426 49,251,049 46,133,944 866,029 2,251,076 36,601 1,759,369

*출처 : ('04~'05년 자료) 한국시멘트협회, “2015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6., ('06~'17년 자료)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클링커 내수는 업계 및 타사 판매 포함.
***13년과 16년 자료는 한국시멘트협회에서 제공하지 않아 기재하지 않았음

시멘트 수급 추이 ('04~'17년)

(단위 : 톤)

시멘트 수급 추이 ('04~'17년)
연도 생산 출하   수입 재고
내수 수출
'04 54,329,760 54,184,749 51,544,090 2,640,659 3,398,228 1,363,371
'05 47,197,201 46,906,939 42,882,546 4,024,393 3,402,978 1,487,465
'06 49,198,785 49,174,636 45,187,699 3,986,937 3,198,322 1,518,522
'07 52,006,886 52,006,886 47,883,662 4,123,224 2,917,093 1,448,306
'08 51,653,418 51,657,414 48,651,340 3,006,074 1,985,460 1,447,279
'09 50,126,341 50,126,050 47,638,659 2,487,391 831,324 1,421,228
'10 47,420,060 47,482,700 44,720,845 2,761,855 772,487 1,362,008
'11 48,249,153 49,085,043 44,601,372 4,483,671 683,400 1,267,687
'12 46,862,240 47,088,926 43,938,835 3,150,091 728,378 1,865,915
'14 47,047,900 47,630,304 43,706,915 3,923,389 881,681 1,357,236
'15 47,015,261 53,639,091 50,737,202 2,901,889 1,157,505 798,180
'17 57,339,835 57,848,354 56,710,577 1,137,777 854,363 1,440,160

*출처 : ('04~'05년 자료) 한국시멘트협회, “2015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6., ('06~'17년 자료)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국내 시멘트 수출현황 (‘04~’17년)

(단위 : 천 톤, %)

국내 시멘트 수출현황 (‘04~’17년)

*참고 및 재구성 : ('04~'05년 자료) 한국시멘트협회, “2015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6., ('06~'17년 자료)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국내 시멘트 수입현황 (‘04~’17년)

(단위 : 천 톤, %)

국내 시멘트 수입현황 (‘04~’17년)

*참고 및 재구성 : ('04~'05년 자료) 한국시멘트협회, “2015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6., ('06~'17년 자료)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 13년과 16년 자료는 한국시멘트협회에서 제공하지 않아 기재하지 않았음

시멘트 산업은 대규모 생산설비에 기반을 둔 장치산업이며, 설비 설치를 위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고 설치된 설비는 투자 경제성 확보 기간이 길어 혁신적인 신기술 적용을 위한 설비교체, 신 설비 도입 등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산업 중 하나이다.

해외 동향2)

한국시멘트협회 자료에 따르면, 하기의 해외국가 중 2가지 기준(인구 4천만 명 이상, 자국수요 2천만 톤 이상)에 부합하는 국가를 국내산업과 간접비교하기 위해 선정하여 수급 동향을 분석한 바 있다.

2)참고 : 한국시멘트협회, “해외 시멘트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2018.09.

해외 4대륙 8개국의 시멘트 생산순위 및 인구순위

해외 4대륙 8개국의 시멘트 생산순위 및 인구순위
대륙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국가명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미국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 이집트
세계
생산순위
1위
(24억톤)
9위
(56백만톤)
7위
(65백만톤)
3위
(87백만톤)
12위
(54백만톤)
17위
(33백만톤)
24위
(21백만톤)
8위
(64백만톤)
세계
인구순위
1위
(14억명)
11위
(1.2억명)
4위
(2.6억명)
3위
(3.2억명)
5위
(2.1억명)
17위
(82백만명)
23위
(59백만명)
14위
(1억명)

*참고 및 재구성 : 한국시멘트협회, “해외 시멘트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2018.09.

상기 국가들을 대상으로 분석된 시멘트 수급 전망결과는 시멘트 생산량과 소비량이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멘트 총 생산량은 '17년 2,752백만 톤에서 '18년 2,742백만 톤으로 전년대비 1백만 톤(0.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시멘트 총 소비량은 '17년 2,719백만 톤에서 '18년 2,660백만 톤으로 전년대비 59백만 톤(2.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해외 4대륙 8개국의 시멘트 생산순위 및 인구순위

(단위 : 천 톤, %)

해외 4대륙 8개국의 시멘트 생산순위 및 인구순위
구분 수출 수입
2017(E) 2018(F) 증감률 2017(E) 2018(F) 증감률
아시아 중국 18,000 19,750 9.70% 100 100 -
일본 6,667 12,000 80.00% 228 230 0.90%
인니 2,929 4,700 60.50% 9 - -
아메리카 미국 1,300 1,200 △7.7% 12,900 13,000 0.80%
브라질 380 480 26.30% 950 1,050 10.50%
유럽 독일 6,900 7,000 1.40% 1,380 1,380 -
이탈리아 2,610 2,890 10.70% 1,550 1,550 -
아프리카 이집트 200 500 150.00% - - -
합계 38,986 48,520 24.50% 17,117 17,310 1.10%

*출처 : (원본) Global Cement Report XII, (재인용) 한국시멘트협회, “해외 시멘트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2018.09.
**본 실적자료는 클링커 실적이 포함되어 있음.

최근 시멘트 국제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18년 해외 국가들의 벌크시멘트 국제가격은 96.8달러로, 국내시멘트 가격(톤당 66.3달러)보다 약 31달러(46%) 높은 가격시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년 국제시멘트가격은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으나 국내가격은 동결되어 '17년보다 큰 가격차이가 발생한 것이다('17년 27달러에서 '18년 31달러로 증가).

해외 4대륙 8개국의 시멘트 생산순위 및 인구순위

해외 4대륙 8개국의 시멘트 생산순위 및 인구순위
구분
(단위)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평균
(한국제외)
한국 중국 일본 인니 미국 브라질 독일 이태리 이집트
'17년
($/톤)
66.3 46.1 96.0 64.8 115.6 112.9 131.0 136.7 43.6 93.3
'18년
($/톤)
66.3 56.4 96.0 61.2 114.5 108.6 148.0 138.9 51.0 96.8
(원화/톤) 75,000 63,736 108,586 69,215 129,495 122,789 167,327 157,109 57,724 109,498
증감률
(%)
동결 22.3%↑ 동결 5.6%↓ 1.0%↓ 3.8%↓ 13.0%↑ 1.6%↑ 17.0%↑ 3.4%↑
국내가격대비
(증감%)
- △15% 45% △8% 73% 64% 123% 109% △23% 46%

*출처 : (원본) KOTRA, “해외시장조사”, 2018.09., (재인용) 한국시멘트협회, “해외 시멘트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2018.09.
**환율로 인한 가격왜곡을 없애기 위해 현지화/$ 환율은 '17년 연평균 기준 적용
***TAX제외 : 이탈리아 22%, 독일 19%, 브라질 18%, 중국 17%, 이집트·한국·미국 10%, 일본 8%, 인도네시아 5%

상기 표에서 국가별 증감률 자료를 기반으로 전년대비 가격변동요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해외 국가별 가격변동요인

해외 국가별 가격변동요인
구분 국가명 '17~'18년
증감률
가격변동요인
상승
국가
중국 22.3% 정부의 환경구제 및 설비감축정책 등의 영향으로 생산량 조정이 발생되어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가격 상승 발생
독일 13.0% 시장의 성숙기가 고착되어 가격 안정화를 위한 시장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자국내 메이저업체들은 대부분 레미콘사업도 병행하여 가격협상력이 높음
이탈리아 1.6%
이집트 3.4% 최근 2~3년 동안 주택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전반적인 건축 자재가격이 증가하고 있으며
시멘트의 가격인상도 반영됨
하락
국가
인니 △5.6% 급격한 생산능력확대 및 업체간 경쟁심화 등의 이유로 가격하락추세를 기록
미국 △1.0% 최근 4~5년 동안 미국경제가 회복되어 수요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가격상승이 이루어져 왔으며,
잠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음
브라질 △3.8% 2010년 7~8% 수준이었던 경제성장률이 2018년에는 1%대로 하락하였으며
국내경기 악화로 인한 SOC 및 민간건설수요 감소로 시멘트 가격하락이 발생

*참고 및 재구성 : 한국시멘트협회, “해외 시멘트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2018.09.

1인당 GDP 대비 시멘트 국제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해외 국가별 현지가격과의 단순한 가격비교를 탈피하기 위해 국가별 경제수준('18년 1인당 GDP)을 반영하여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해외 국가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의 시멘트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국가의 1인당 평균 GDP는 27,182달러이며, 1,000달러 당 시멘트 가격은 평균 7.2달러이다.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32,775달러로, 1,000달러 당 시멘트 가격은 2달러로 해외 국가 평균 대비 약 1/4 수준이다.

해외 국가별 벌크시멘트 내수가격 비교 ('17~'18년)

해외 국가별 벌크시멘트 내수가격 비교 ('17~'18년)
구분
(단위)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평균
(한국제외)
한국 중국 일본 인니 미국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 이집트
1인당 GDP
(천 달러)
32.8 10.1 40.8 4.1 62.0 10.2 50.8 35.9 3.3 27.2
1인당 GDP
천 달러당 가격($)
2.0 5.6 2.4 15.1 1.9 10.6 2.9 3.9 15.3 7.2
국내가격대비
(증감%)
- 176% 16% 647% △9% 425% 44% 91% 656% 256%

*출처 : (원본) KOTRA, “해외시장조사”, 2018.09., (재인용) 한국시멘트협회, “해외 시멘트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2018.09.**'18년 1인당 GDP는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8 전망치 반영.

우리나라의 시멘트 적정가격을 판단하기 위해 선진국(개도국 및 신흥국은 제외)의 1인당 평균 GDP 대비 1,000달러 당 시멘트 가격을 우리나라의 1인당 GDP 32,775달러에 적용한 결과 평균 톤당 91달러가 산출되었다.
이는 우리나라보다 1인당 GDP가 높은 선진국의 1,000달러 당 시멘트 가격을 적용해도 국내 가격은 선진국 평균인 톤당 91달러 보다 24.7달러나 낮은 톤당 66.3달러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선진국 기준 적용 시 우리나라의 적정 시멘트 가격 산출

선진국 기준 적용 시 우리나라의 적정 시멘트 가격 산출
구분
(적용단위)
한국 일본 미국 독일 이탈리아 평균
(한국제외)
1인당 GDP
천 달러당 가격($)
2.0 2.4 1.9 2.9 3.9 2.8
1인당 GDP
(천 달러)
'18년 우리나라 1인당 GDP 32,775달러 적용
산출가격
(%)
66.3 78.7 62.3 95.0 127.8 91.0
국내가격대비
(증감%)
- 19% △6% 43% 93% 58%

*참고 및 재구성 : 한국시멘트협회, “해외 시멘트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2018.09.

국내 시멘트 가격은 지정학적 위치(대륙별), 경제수준(GDP)을 모두 고려하더라도 국제 시멘트 가격 대비 매우 낮은 실정이다. 시멘트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국내 1인당 GDP 수준을 고려하여 국내가격이 현실화되는 것이 요구된다.

참고문헌1. 한국시멘트협회, “2015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6.
2. 한국시멘트협회, “2017 한국의 시멘트산업 통계”, 2018.
3. 한국시멘트협회, “해외 시멘트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2018.09.
4. 한국시멘트협회 > 시멘트 통계 > 연도별 수급현황, (http://www.cement.or.kr/stati_2015/mm_pro_view.asp?sm=2_1_0).
5. Global Cement Report XII
6. IMF, 1인당 GDP 자료 (2018년 기준).
7. KOTRA, “해외시장조사”, 2018.09.

협력사 안내

  • 이전버튼
  • 다음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