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목재

목재

업종개요

광업

목재

목재 목재업은 원목생산업, 매매업, 제재업 등의 업태로기초 생활 수요 가운데 주생활의 기반이 되는 건축 자재를 공급하는 동시에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재생에너지 수요 증대에 부응하는 팰릿 등 재생에너지 자원을 공급하는 원천적인 투입요소로서 기본 수요가 항상 존재하며, 지속가능발전에도 기여한다.

목재산업은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21세기 들어서도 국민경제의 기초 수요 환경변화에 부응하고 새로운 시장과 고용기회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지속적인 산업 활동의 중요성이 더해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목재 수급 실적은 '96년도에는 27,404천㎥이며, '97년도 26,452천㎥로 별다른 변동이 없다가 '97년말에 시작된 IMF의 영향으로 '98년도에는 20,081천㎥으로 크게 감소하였다가 '99년도에는 27,816천㎥으로 회복, '02년도에는 경기활황으로 29,047천㎥까지 크게 증가 하였다가 수입재 증가 등으로 '03,'04년도는 27,000천㎥대를 유지하였음. ’05, ´06년도에는 국내재 수급량은 증가하였으나 수입재는 감소되면서 26,000천㎥대로 떨어졌다가 ´07년도에 국내재와 수입재 모두 소폭 상승하여 27,000천㎥대를 회복, '08년 26,752천㎥, 09년 26,607천㎥, '10년 27,612천㎥, '11년 27,608천㎥, '12년 27,819천㎥, '13년 28,151천㎥, '14년 31,004천㎥, '15년 30,597천㎥, '16년 31,772천㎥ 으로 증가추세를 이어가다, '17년 29,754천㎥, '18년 30,056천㎥, '19년 27,666천㎥으로 정체 중이다.

대표공정

목재 동향

목재 수급 실적은 '96년도에는 27,404천㎥이며, '97년도 26,452천㎥로 별다른 변동이 없다가 '97년말에 시작된 IMF의 영향으로 '98년도에는 20,081천㎥으로 크게 감소하였다가 '99년도에는 27,816천㎥으로 회복, '02년도에는 경기활황으로 29,047천㎥까지 크게 증가 하였다가 수입재 증가 등으로 '03,'04년도는 27,000천㎥대를 유지하였음. ’05, ´06년도에는 국내재 수급량은 증가하였으나 수입재는 감소되면서 26,000천㎥대로 떨어졌다가 ´07년도에 국내재와 수입재 모두 소폭 상승하여 27,000천㎥대를 회복, '08년 26,752천㎥, 09년 26,607천㎥, '10년 27,612천㎥, '11년 27,608천㎥, '12년 27,819천㎥, '13년 28,151천㎥, '14년 31,004천㎥, '15년 30,597천㎥, '16년 31,772천㎥ 으로 증가추세를 이어가다, '17년 29,754천㎥, '18년 30,056천㎥, '19년 27,666천㎥으로 정체 중이다.

목재수급실적은 국산재 공급 확대, 목재 이용량 증가 등으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건설경기 하락,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해상운임상승, 목재수출국의 원목수출세 부과 등 불안한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외부요인에 따른 변수가 많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원목 수급 실적은 '96년도에는 9,225천㎥이며, '97년도 9,328천㎥로 별다른 변동이 없다가 '97년말에 시작된 IMF의 영향으로 '98년도에는 5,798천㎥으로 크게 감소 하였다가 '99-'07년도까지 8,000천~9,000천㎥대 생산을 유지,08년도7,969천㎥, 09년도 8,190천㎥, '10년도 7,942천㎥, '11년 8,240천㎥, '12년 8,177천㎥, '13년 8,654천㎥, '14년 8,855천㎥, '15년 8,691천㎥, '16년 9,003천㎥으로 상승하다 '17년 8,446천㎥, '18년 7,607천㎥, '19년 6,889천㎥으로 소폭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국내외 경기성장 둔화에 따른 목재 소비량 감소 때문으로, 국내 산림축적량 등을 감안할 때 점차 증가할 것이나, 숲가꾸기, 피해목, 산지전용 등에서 발생하는 목재량도 예산 및 정책방향에 따라 감소 추세로 이어진다.
원목수급실적은 당분간 큰 변동없이 7,000천~9,000천㎥대를 유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원목 주 수입원인 뉴질랜드의 달러 환율 변동 및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해상 운송비용의 증가, 러시아 원목수출세 인상 등의 영향에 따른 외부요인의 변화가 원목수급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칠것으로 전망한다.

목재자급률 및 원목자급률

목재자급률은 15.9%로 2019년(16.6%)에 비해 0.7%p 감소하였다,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되어 국산 목재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나, 바이오매스용 펠릿 수입은 증가하여 목재 자급률이 감소하였다.
※ 목재자급률 추이(%) : (’17) 16.4 → (’18) 15.2 → (’19) 16.6 → (’20) 15.9

원목자급률은 60.3%로 2019년(62.0%)에 바햐 1.7%p 감소하였다
건설수주 및 건축착공면적 증가로 원목 수입량이 증가한 반면 국내 원목생산량은 감소하여 원목자급률이 감소하였다.
※ 원목자급률 추이(%) : (’17) 57.4 → (’18) 60.2 → (’19) 62.0 → (’20) 60.3

2020년도 목재수급 및 자급률

2020년도 목재수급 및 자급률
구 분 합 계> 국내재 수입재 자급률
원목 부산물 제품 원목 부산물 원목 제품 원목 총목재
합계 합계 27,925 6,718 398 20,809 4,447 4,049 398 23,478 2,669 20,809 60.3 15.9
제재용 5,225 3,110 - 2,115 564 564 - 4,661 2,546 2,115 - 10.8
합판용 1,874 117 - 1,757 - - - 1,874 117 1,757 - -
펄프용 10,069 904 - 9,165 904 904 - 9,165 - 9,165 - 9.0
보드용 2,662 1,245 - 1,417 1,239 1,239 - 1,423 6 1,417 - 46.5
바이오매스용 5,440 155 398 4,887 553 155 398 4,887 - 4,887 - 10.2
기타 2,655 1,184 - 1,468 1,187 1,187 - 1,468 - 1,468 - 44.7

* ‘19년부터 국내재를 원목과 부산물로 구분, 수입재는 내수용과 수출용을 포함
* 기타용도는 주택, 표고자목, 장작, 목탄 등

2020년 용도별 국산목재 공급 실적

국산목재 공급량은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4,605 → 4,447, △158천㎥)하였다.
(소유별) 목재공급량 비율은 국유림 11.9%, 민유림 88.1% 수준이며, 국유림 531천㎥로 전년대비(△29천㎥, △5.2%) 감소, 민유림 3,916천㎥ 전년대비(△129천㎥, △3.2%) 감소하였다.

(용도별) 바이오매스 및 합판용 증가, 펄프용 및 제재용 등 감소하였다.
※ 증가(%) : 바이오매스용(207.3), 부산물(24.9)
※ 감소(%) : 펄프용(△9.0), 톱밥용(△25.5), 표고자목용(△26.9), 제재용(△12.0)

원목 외 미이용부산물 활용을 위한 수집량이 증가 추세이다.
※ 부산물 수집량 및 비중(천㎥/%) : (’19) 293/6.4 → (’20) 366/8.2

용도별 국산목재 공급 실적

용도별 국산목재 공급 실적
구분 2019년 2020년 증·감
수량 비율(%) 수량 비율(%) 수량 비율(%)
용도별 4,605 100 4,447 100 -158 -3.4
제재용 673 14.6 592 13.3 -81 -12.0
합판용 2 0.0 16 0.4 14 700.0
보드용 21 0.5 29 0.7 8 38.1
칩·펄프용 2,336 50.7 2,125 47.8 -211 -9.0
바이오매스용 96 2.1 295 6.6 199 207.3
기타용 토목·갱목용 - - 1 0.0 - -
한옥·목조 주택용 1 0.0 1 0.0 - -
표고자목용 260 5.6 190 4.3 -70 -26.9
톱밥용 208 4.5 155 3.5 -53 -25.5
장작용 62 1.3 66 1.5 4 6.5
목탄용 57 1.2 23 0.5 -34 -59.6
기타 596 12.9 588 13.2 -8 -1.3
소유별 4,605 100 4,447 100 -158 -3.4
국유림 560 12.2 531 11.9 -29 -5.2
민유림 4,045 87.8 3,916 88.1 -129 -3.2

지자체 입목벌채허가(신고)를 기준 공급량으로 실제 목재 유통과는 차이가 있음

2020년 목재수출입 현황

목재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22,696 → 22,583, △113천㎥) 하였다.
바이오매스용, 합판용은 증가한 반면에 펄프용과 제재용 등은 감소하였다.
※ 증가(천㎥, %) : 바이오매스용 601(14.0), 합판용 9(0.5)
※ 감소(천㎥, %) : 펄프용 370(△4.2), 장작용 182(△15.7), 제재용 29(△0.6), 보드용 118(△4.2), 목탄용 16(△13.0)

목재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5.0% 증가(365 -> 895,530천㎡)하였다.
펄프용 수출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제재용은 감소하였으며 코로나 19 영향으로 포장재용 펄프 수요가 크게 증가 하였다.

용도별 목재수출입 실적

(단위 : 천㎡)

용도별 국산목재 공급 실적
구분 2019년 2020년 증·감
수량 비율(%) 수량 비율(%) 수량 비율(%)
수입 22696 100 22583 100 -113 -0.5
제재용 4673 20.6 4644 20.6 -29 -0.6
합판용 1860 8.2 1869 8.3 9 0.5
보드용 8728 38.5 8358 37.0 -370 -4.2
칩·펄프용 1514 6.7 1396 6.2 -118 -7.8
바이오매스용 4286 18.9 4887 21.6 601 14.0
기타용 토목·갱목용 1 0.0 2 0.0 1 100.0
한옥·목조 주택용 153 0.7 150 0.7 -3 -2.0
표고자목용 - - - - - -
톱밥용 13 - 7 - -6 -46.2
장작용 1157 5.1 976 4.3 -180 -15.6
목탄용 127 0.6 110 0.5 -17 -13.4
기타 184 0.8 184 0.8 0 0.0
수출 365 100 895 100 530 145.2
제재용 36 9.9 17 1.9 -19 -52.8
합판용 5 1.4 5 0.6 - -
보드용 258 70.7 807 90.2 549 212.8
칩·펄프용 32 8.8 27 3.0 -5 -15.6
바이오매스용 - - - - - -
기타용 토목·갱목용 - - - - - -
한옥·목조 주택용 3 0.8 3 0.3 0 0.0
표고자목용 - - - - - -
톱밥용 - - - - - -
장작용 - - - - - -
목탄용 1 0.1 0.3 0.1 - -
기타 30 8.2 36 4.0 6 20.0

*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근거로 작성
* 기타용도는 목재상자·팔레트, 주방요품, 이쑤시개 등

목재자급률 및 원목자급률1)

1)반도체 공장(Fab)이 없이 반도체 설계에 집중하는 회사(Fabless)

2019년 원목 이용 산업

2019년 원목 이용 산업 2019년 원목 이용 산업 2019년 원목 이용 산업

참고문헌 1. 산림청, “2020년 목재수급실적
2. 산림청, “2019년 기준 목재이용실태조사 보고서”, 2020.10
3. e-나라지표, “목재수급 현황”

협력사 안내

  • 이전버튼
  • 다음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