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수소기술

수소기술

일반특성

수소기술 수소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가벼운 원소로써, 무색·무미·무취로 상온에서 기체(H2) 상태이지만, 일반적으로 지구상에 순수한 분자 상태로 거의 존재하지 않고, 물과 같은 화합물 상태로 존재함. 수소는 분자량이 가벼워 단위 중량당 큰 부피와 강한 확산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위 질량당 열량은 높으나, 강한 환원성(가연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음. 공기 중에서 자연발화온도는 500℃이고, 인화 및 폭발범위는 각각 4~75%, 18.3~59%로써, 메탄보다 발화온도는 낮고 폭발범위는 넓은 특성이 있으며, 또한 기화점은 ?252.8℃로 매우 낮아 취급이 어려운 점이 존재함. 최근 수소는 연소 후 CO2나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대체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지만, 앞선 특징으로 인해 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산, 저장, 운송, 분배, 사용 단계에서의 많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해야 함

수소의 분류(원료 및 공정 기준)

❍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원료와 원료를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15가지로 구분하는데, 원료는 크게 화석연료(탄화수소)와 재생원료(바이오매스, 물)로 구분함

- 화석연료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공통적으로 탄화수소에 열을 가해 탄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기법이 주로 적용되며, 세부적인 방식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함

● 탄화수소 열분해* :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고온(750~2,000℃)의 열을 가하여 탄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써, CO2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음

* 상세 내용은 EG-TIPS의 수소 생산기술 ‘플라즈마 이용 메탄 열분해’ 참조

● 탄화수소 개질 : 탄화수소에 열과 수증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여 수소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써, 스팀개질, 자열개질, 부분산화 3가지 방식*이 있음

* 상세 내용은 EG-TIPS의 수소 생산기술 스팀메탄개질, 자열개질, 부분산화를 참조

- 재생 원료 기반 수소 생산방법은 원료에 따라 바이오매스와 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물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열분해, 광분해, 전기분해가 있음

● 물 열분해* : 물을 고온의 열을 가하여 수소와 산소로 직접 분리하는 방범임

* 상세 내용은 EG-TIPS의 수소 생산기술 ‘4세대 원자로를 이용한 원자력 수소생산’ 참조

● 광분해 : 태양광을 흡수해 전기를 생성하는 물질을 이용해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방법임

● 전기분해* : 물에 전기를 가해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방법이며 전해질에 따라 알칼라인, 고체산화물, 고분자전해질로 구분할 수 있음

* 상세 내용은 EG-TIPS의 수소 생산기술 ‘알칼리수 전기분해에 의한 수소생산’, ‘고체산화물 전해조’, ‘고분자 전해질 막 전기분해’ 참조

  • 수소의 생산 원료 및 공정 기준 분류

    수소의 생산 원료 및 공정 기준 분류

출처S. Shiva Kumar, V. Himabindu, "Hydrogen Production by PEM Water Electrolysis – A review", Materials Science for Energy Technologies, 2 (2019) 442–454

- 바이오매스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은 생물학적 방식과 열화학적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생물학적 방법은 광분해, 발효, 광합성 발효가 있으며,

열화학적 방식은 가스화, 열분해, 연소, 액화 등이 있음

● 생물학적 광분해 : 광합성 메커니즘을 이용해 CO2는 고정하고, 수소를 생산하는 조류를 이용한 방법임

● 혐기 및 광합성 발효 : 혐기 발효는 빛과 산소가 없는 혐기적 조건에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이고, 광합성 발효는 빛이 있고 산소가 없는

혐기적 조건에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임

● 가스화 : 건조된 바이오매스를 저산소 환경에서 가열하여 수소, 일산화탄소 등으로 합성가스를 생성하고 이를 수성가스 전환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산함

● 열분해 : 가스화 방식과 유사하며, 바이오매스를 무산소 상태에서 고온의 열을 가하여 탄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방법임

수소의 분류(원료, 에너지원, CO2 배출 기준)

❍ 수소 생산에 사용하는 원료, 에너지원, CO2 배출량에 따라 10가지로 구분함

- 녹색 수소 : 재생에너지 전기를 이용하여 물 전기분해 공정을 통해 생산한 수소를 말하며, CO2 배출이 없음

- 청색 수소 : 화석연료를 원료로 하며, 증기 개질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지만 CCS(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을 적용하여 CO2를 포집 저장함으로써, 소량의 CO2만 배출함

- 회색 수소 : 화석연료를 원료로 하며, 증기 개질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며, 개질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는 대기 중으로 배출함

- 흑/갈색 수소 : 역청탄(흑색)이나 갈탄(갈색) 등의 석탄을 원료로 하며, 가스화 공정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며, 가스화 과정에서 발생한 CO2는 대기 중으로 배출함

- 청록색 수소 : 천연가스 열분해로 수소를 생산하고, 탄소는 고체로 배출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개질 방식보다 CO2 배출량이 적음

- 보라색 수소 :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열과 전기로 물을 고온으로 가열한 다음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며, CO2 배출은 없음

- 분홍색 수소 :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며, CO2 배출은 없음

- 적색 수소 :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열로 물을 열화학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며, CO2 배출은 없음

- 황색 수소 : 상용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며, 상용전기의 전력배출계수에 따라 CO2 배출량은 달라짐

- 백색수소 :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소를 나타냄


수소의 분류-원료, 에너지원, CO2 배출기준

수소의 분류-원료, 에너지원, CO2 배출기준
수소 색깔 원료 1차 에너지원 생산공정 CO2 배출
녹색 수소
(Green)
재생에너지 전기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생산 없음
청색 수소
(Blue)
천연가스 천연가스 탄소포집 및 저장이 접목된 메탄증기개질(SMR) 수소 생산  소량
회색 수소
(Grey)
천연가스 천연가스 메탄증기개질(SMR) 수소 생산  다량
흑/갈색 수소
(Black/Brown)
역청탄, 갈탄 석탄 석탄 가스화 공정을 통한 수소 생산 다량
청록색 수소
(Turquoise)
천연가스 천연가스 천연가스 열분해로 수소 생산
탄소는 고체로 배출
소량
보라색 수소
(Purple)
원자력
(열, 전기)
원자력 열과 전기로 물을 열화학, 전기분해로 수소 생산  없음
분홍색 수소
(Pink)
원자력
(전기)
원자력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생산 없음
적색 수소
(Red)
원자력
(열)
원자력 열로 물을 열화학 분해하여 수소 생산 없음
황색 수소
(Yellow)
상용전기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생산 배출
(전력배출계수)
백색 수소
(White)
-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소 없음

국내 수소 수급 현황 및 전망

국내 수소 수급 현황

❍ ‘20년 국내 에너지다소비사업장 기준 수소 생산량은 2,560천톤 수준임
- 업종별 생산 비중은 정유 48%, 화학 52%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 기술별 비중은 부생수소 52%, 개질수소 48%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외 다른 기술의 생산량은 미미함

❍ ‘20년 국내 에너지다소비사업장 기준 수소 사용량은 2,186천톤 수준임
- 업종별 비중을 보면, 정유산업 61%, 화학산업 39% 수준이고, 기타는 0.5% 미만임
- 정유·화학산업에서 수소는 대부분 원료(93%)로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는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소비하지 못한 수소는 외부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상황임

국내 수소 생산 현황 ('20년, 천톤)

국내 수소 생산 현황 ('20년, 천톤)
지역 정유산업 화학산업 기타 합계
부생 개질 소계 부생 개질 소계
울산 314 330 644 177 542 719 0 1,363
전남 163 127 290 292 46 338 0 628
충남 226 0 226 268 0 268 2 497
기타 57 0 57 7 6 13 2 72
합계 650 567 1,217 687 652 1,339 4 2,560

출처EG-TIPS, 한국에너지공단, 다소비사업장 기준

국내 수소 사용 현황 ('20년, 천톤)

국내 수소 사용 현황 ('20년, 천톤)
지역 정유산업 화학산업 기타 합계
원료 연료 소계 원료 연료 소계 원료 연료 소계
울산 799 1 800 377 0 377 0 0 0 1,177
여수 311 3 314 118 118 236 0 0 0 551
대산 156 7 163 210 8 218 2 0 2 383
기타 57 0 57 11 0 11 6 2 7 75
합계 1,323 11 1,334 716 127 843 8 2 10 2,186

출처EG-TIPS, 한국에너지공단, 다소비사업장 기준

국내 수소 공급시설 현황

❍ 국내 수소 주요 공급사는 7개 회사가 있으며, 덕양이 150,000Nm3/h 생산시설로 국내 최대 생산 설비용량을 갖추고, 울산 산업단지에 수소를 공급하고 있음
- 전체 공급량 기준으로 볼 때, 시장 점유율은 덕양 50.1%, SPG Hydrogen이 21.7%, Air Liquid가 17.7% 수준으로 나타나, 상위 3사가 전체 공급량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 수소 공급사의 위치는 주요 수요처인 석유화학 및 정유 업종의 생산시설이 밀집된 울산, 여수, 대산, 안산, 인천 지역에 있음

국내 주요 수소 공급사 및 설비 규모와 설치지역

국내 주요 수소 공급사 및 설비 규모와 설치지역
공급사 생산설비용량(Nm3/h) 시장점유율(%) 국내 주요 수소 공급사 및 설비 규모와 설치지역
1 덕양 150,000 50.1
2 SPG Hydrogen 65,000 21.7
3 Air Liquid 53,000 17.7
4 SDG 21,300 7.1
5 창신 5,200 1.7
6 Linde 3,200 1.1
7 대성 2,000 0.7

출처The Hydrogen Economy South Korea(Market Intelligence Report), UK’s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Trade (DIT), April 2021

국내 수소 수급 전망(~'50)

❍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르면, ‘50년 기준 수소 수요량은 27.4~27.9백만톤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18년 생산량(1.2백만톤)보다 약 23배 늘어난 수준임
- 분야별 수소 수요량을 보면, 전환부문 13.2~14.2백만톤, 산업부문 10.6백만톤, 수송부문 1.5~2.0백만톤, CCUS(탄소포집 및 저장·활용) 1.1~2.1백만톤 수준임
- 전환부문은 무탄소 가스터빈 및 수소연료전지 등에서 사용하며, 산업부문은 수소환원제철 등 산업공정에 사용되는 원료와 연료로 사용함
- 수송부문은 수소차, 대체연료(E-fuel) 생산 등에 사용하며, CCUS 부문은 CCU기술의 화학적 전환에서 사용함, 농·축·수산 부문은 농기계·어선 등의 연료전환용임

❍ 수소 공급 방법은 해외수입, 수전해, 추출 + CCUS, 부생수소 등이 있음
- 해외 수입이 21.9~22.9백만톤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수전해 수소가 3.0~5.0백만톤, 블루수소가 1백만톤, 부생수소 1백만톤 수준임
- 수소 수입 대상 국가는 호주, 중동, 북아프리카 등이 검토되고 있음
- 블루수소를 통해 약 9백만톤의 온실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는 CCUS기술을 적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대기중으로 배출하지 않음

  • 국내 수소 수요 및 공급 전망

    국내 수소 수요 및 공급 전망

출처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세부산출근거,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2021.10

세계 수소 수급 현황 및 전망

세계 수소 수급 현황

❍ ‘21년 기준 전 세계 수소 생산량은 94Mt 수준이며, 원료는 대부분 화석연료임
- ’22년 IEA에서 발행한 ’Global Hydrogen Review‘에 따르면, ’21년 기준 수소 생산 원료는 천연가스 62%, 석탄 19%, 부생수소 18%, 석유 0.7%로 나타남
- 탄소포집 기술이 적용된 것은 0.7%, 수전해 방식은 0.04% 수준으로, CO2 배출이 적은 기술로 생산한 수소의 비중은 매우 낮은 상황임

❍ ‘21년 기준 수소 소비는 대부분 정유 및 화학산업(암모니아 생산)에서 이루어졌음
- 정유 및 화학산업 이외에 수송, 기타제조업, 발전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전체 사용량 대비 그 비중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음
- 다만 도로 수송에서 사용하는 수소의 양은 전년 대비 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수소 차량 보급 수준에 따라 향후 수송부문의 수소 사용량이 변화될 것으로 전망
- 국가별 수소 소비량을 보면 중국이 28Mt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미국(12Mt), 중동(12Mt), 유럽(8Mt) 순이었음

  • 세계 수소 생산 현황

    세계 수소 생산 현황

출처Global Hydrogen Review, IEA, 2022

세계 수소 수요 전망(~'35)

❍ ‘35년 기준 수소 수요는 120Mt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STEPS 시나리오 기준)
- ’23년 IEA에서 발행한 ‘Toward hydrogen definitions based on their emissions’의 STEPS* 시나리오에 따르면, 세계 수소 수요는 현재 주요 수요처인 정유·화학 중심으로 사용량이 증가하여 ‘30년까지 115Mt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함
* 현재까지 발표된 정책을 반영한 시나리오이며, 연료 용도의 암모니아 사용량도 포함
- ‘30년 이후 철강, 수송, 연료 등의 신규 분야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35년 기준 수소 수요량은 120Mt에 이르지만, 신규 분야의 비중은 2.5% 정도로 전망

❍ 탄소중립 시나리오(NZE) 하에서는 ‘35년 기준 수소 수요는 270Mt로 증가 전망
-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신규 분야 수소 사용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체 수소 수요는 ’21~‘30년 기간 2배, ’21~‘35년 기간 3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철강, 수송, 연료 분야에서 수소 사용량을 확대하는 정책을 반영한 시나리오
- 특히, 연료 용도*로 사용하는 수소의 비중은 ’35년 기준 18% 수준으로 전망
* 연료로 사용하는 암모니아 사용량 포함

참고 ○ STEPS 시나리오 기준 암모니아 수요는 ‘21년 190Mt에서 ’35년 230Mt으로 증가함
- 대부분 석유화학 제품 제조 용도에서 증가하고, 발전 수요는 일부 존재
○ 탄소중립 시나리오 기준 암모니아 수요는 ’35년 440Mt으로 증가함
- 발전, 선박 연료의 수요 증가에 기인하며, 각 용도별 사용량 비중은 발전 35%, 선박 연료 20% 수준

  • 세계 수소 수요 전망

    세계 수소 수요 전망

출처Toward hydrogen definitions based on their emissions, IEA, 2023

세계 수소 공급 전망(~'35)

❍ 35년 기준 저탄소 수소 생산기술 적용 비중은 9% 수준(STEPS 시나리오 기준)
- ’35년까지 수소 생산 기술별 비중은 화석에너지 기반 기술이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탄소 수소 생산기술*의 비중은 선진국(G7)을 중심으로 확대되지만 ’30년 기준 6%, ‘35년 기준 9% 정도 차지할 것으로 전망
* CCUS 기술이 접목되거나, 저탄소 전력을 이용한 물 전기분해 수소 생산기술 등을 말함

❍ 탄소중립 시나리오(NZE) 하에서는 ‘35년 기준 저탄소 수소 생산기술 적용 비중은 74%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저탄소 전력을 이용한 물 전기분해 수소 생산기술의 생산량 증가에 힘입어 전체 저탄소 수소 생산기술을 통해 생산하는 수소의 양은 ’30년 90Mt, ‘35년 200Mt에 이를 것으로 나타나, ’21년 1Mt 대비 20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G7 국가의 경우 재생에너지 및 탄소저장설비의 부족으로 수입량이 증가하여 ‘30년 8Mt, ’35년 15Mt 정도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 세계 수소 공급 전망

    세계 수소 공급 전망

출처Toward hydrogen definitions based on their emissions, IEA, 2023

협력사 안내

  • 이전버튼
  • 다음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