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업종개요

철강
철강
금속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철강 산업은 자동차, 조선, 기계, 건설 및 방위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에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 원자재(철광석, 철 스크랩 등)를 이용하여 봉, 형강, 판재, 강관 등의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산업 활동을 의미하며, 제철 및 제강업,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철강관 제조업, 표면처리 및 절단제품 제조업 등을 포함하고 있는 산업이다.
국내 조강 생산량은 2020년 기준 약 671십만 톤으로, 2005년 약 478십만 톤에서 연평균 2.3%씩 증가하였다. 이는 세부적으로 전로 생산량의 연평균 증가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전로 생산량은 2005년 약 267십만 톤이었으나, 2020년 약 463십만 톤으로 매년 평균 3.7%씩 증가하였다. 반면, 전기로의 경우는 2005년 약 211십만 톤 대비 2020년 약 208십만 톤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0.1%로 전로에 비해서는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2021년 1~6월 기준 국내 조강 생산량은 약 352십만 톤, 전로 생산량은 약 237십만 톤, 전기로 생산량은 약 115십만 톤이다.
산업 범위 및 특성
산업 범위
철강업종에 해당하는 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KSIC)를 기준으로 1차 금속제조업(24)의 1차 철강 제조업(241)에 속한다. 1차 철강 제조업은 철강 분, 괴, 퍼들바, 파일링, 빌릿, 블룸, 슬래브, 대, 판, 궤도, 봉, 선재, 관 및 기타 1차 형태의 철강재 및 표면 처리 철강재를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세부적으로 제철·제강 및 합금철 제조업(2411),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2412), 철강관 제조업(2413), 기타 1차 철강 제조업(2419)으로 구분된다.
제철·제강 및 합금철 제조업(2411)은 고로, 전기로, 반사로 등의 각종 용해로에서 철광석, 재생용 고철 및 철강 부스러기 등을 용해, 압연, 제강 등 가공 처리하여 선철, 주철, 강, 합금철 등의 분, 괴, 퍼들바(puddle bar), 파일링(piling), 빌릿, 블룸, 슬래브 등 각종 1차 형재를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나타낸다. 세부적으로 제철업, 제강업, 합금철 제조업, 기타 제철 및 제강업으로 구분된다.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2412)은 강괴, 형강 및 기타 1차 형태의 철강재를 열간 또는 냉간 압연․압출․연신, 인발 및 기타 성형 처리하여 판, 봉, 선 및 반제품 형태의 기타 형강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하위에 열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 냉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 철강선 제조업으로 구분된다. 철강관 제조업(2413)은 선재, 봉, 바 등의 1차 강재를 연신하여 철강선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이다. 세부적으로 주철관 제조업, 강관 제조업으로 구성된다.
철강업종 세분류
대분류 | 중분류 | 세분류 |
---|---|---|
1차 철강 제조업(241) | 제철·제강 및 합금철 제조업(2411) | 제철업(24111) |
제강업(24112) | ||
합금철 제조업(24113) | ||
기타 제철 및 제강업(24119) | ||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2412) | 열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24121) | |
냉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24122) | ||
철강선 제조업(24123) | ||
철강관 제조업(2413) | 주철관 제조업(24131) | |
강관 제조업(24132) | ||
기타 1차 철강 제조업(2419) |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처리강재 제조업(24191) | |
그외 기타 1차 철강 제조업(24199) |
* 출처 :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한국표준산업분류 제11차 개정 고시기준, 2024
산업 특성
철강업종은 철을 함유하고 있는 철광석, 철 스크랩 등을 녹여 쇳물을 만들고 불순물을 줄인 후 연주 및 압연과정을 거쳐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철근, 강관 등 최종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이다. 생산된 철강제품은 자동차, 조선, 가전, 기계, 건설을 비롯한 전 산업에 소재로 공급하는 산업 기초의 핵심이다.
국내 철강산업 계층도

*가공: 한국IR협의회 철강산업 자료(2018.09), 재료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최근 미국발 무역분쟁으로 인한 철강업계 고용영향 및 대응방안“(2019), 한국철강협회 홈페이지(http://www.kosa.or.kr/, 2020년 조회)를 참고하여 통합 가공.
철강업종은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으로, 생산 규모가 확대될수록 단위당 비용이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가 큰 산업입니다. 이는 철강 생산과정에서 원자재와 에너지의 대량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때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철강업종은 원자재 산업, 에너지 산업, 건설업 등의 후방 산업과 자동차, 조선, 기계, 가전 등의 전방 산업에 기초 소재를 제공하며, 전후방 연관 효과가 매우 높다.
후방 연관 효과는 철강 산업이 원자재와 에너지를 대량으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철광석과 석탄 같은 원자재 공급이 철강 생산의 기초를 이루며, 대규모 철강 생산은 원자재 산업의 수요를 크게 증대시킨다. 또한, 철강 생산은 에너지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력과 가스 등의 에너지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철강 설비와 공장의 건설 및 유지 보수는 건설업에도 큰 수요를 발생시킨다.
전방 연관 효과는 철강 제품이 다양한 산업의 기초 소재로 사용됨으로써 나타난다. 철강은 자동차 차체 및 부품 제작에 필수적인 재료로,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된다. 선박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철강은 조선 산업에 필수적이며, 다양한 기계 장비와 설비의 제작에도 널리 사용된다. 가전제품의 외장 및 내장 부품 제작에도 철강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철강 산업은 제선, 제강, 연속주조 등 핵심 공정기술의 활용에 따라 주도권이 바뀔 수 있는 산업으로 공정기술 혁신이 조업도 향상, 생산 공정의 단축, 생산 고도화의 결과를 불러올 수 있는 산업이다. 철강 산업의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철강 산업의 특성
철강산업 특성 | 세부 내용 |
---|---|
높은 진입장벽 | 사업 초기 막대한 설비투자는 물론,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 필요 |
내수산업 | 내수비중이 70% 이상인 내수 중심형 산업구조 |
성숙기 산업 | 시장 참여업체간 경쟁이 치열한 편이고 성장률이 낮은 편에 속함 |
생산능력 조절의 비탄력성 |
수요변동에 따른 즉각적인 증설과 가동중단이 어려움 |
운송비 부담이 높은 산업 |
중후장대 특성상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물류비가 많이 소요됨 |
*출처: 한국IR협의회/한국기업데이터, 기술분석보고서(경남스틸), 산업분석 파트, 2018.09.20.
산업동향
제목
‘23년 기준 국내 철강업종의 조강 생산량은 66.7백만톤으로써 전년 대비 1.3% 증가하였으나, 팬데믹 이전인 ’19년 생산량 71.4백만톤 보다 6.7% 정도 낮은 수준이다. 조강생산량 중 고로 기반의 전로강 생산량이 47백만톤으로 70%를 차지하며, 전기로강은 19.7백만톤으로 30% 수준이다. 이는 ‘15년 이후 전로강과 전기로강의 비율은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과거 8년(‘15년~’23년) 조강 생산량의 연평균 증감율은 –0.5%이다. 특히 전기로강의 생산량은 연평균 –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 업체들의 생산능력 확장으로 ‘24~’26년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저가 제품의 수입으로 국내 조강 생산량은 당분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형강, H형강, 봉강, 철근, 선재 철강제품의 ‘23년 생산량을 살펴보면, 선재(전년대비 7% 증가)를 제외하고 모두 전년 대비 5~10% 감소하였다. ’19년 생산량과 비교하면 형강, H형강, 선재는 17~19% 감소하였고, 철근은 5%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팬데믹 이전으로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후판, 열연강판, 냉연강판 등의 ‘23년 생산량을 살펴보면, 석도강판(전년 대비 4% 감소) 및 냉연강판(전년대비 0.7% 감소)을 제외하고, 전년대비 2~10% 정도 증가하였다. 특히 열연강판 및 용융아연도강판이 9% 이상 증가하여, 자동차 생산량 증가에 따라 수요가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19년 생산량과 비교하면 컬러강판과 강관은 비슷한 생산량을 나타냈으나, 대부분 제품이 6~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용융아연도강판은 ‘19년과 비교하여 60% 감소한 상황이다.
조강 생산량
(단위 : 천톤)
구분 | 전로강 | 전기로강 | 소계 | ||
---|---|---|---|---|---|
생산량 | 비중* | 생산량 | 비중 | ||
2015 | 48,501 | 69.60% | 21,171 | 30.40% | 69,672 |
2016 | 47,520 | 69.30% | 21,056 | 30.70% | 68,576 |
2017 | 47,677 | 67.10% | 23,354 | 32.90% | 71,031 |
2018 | 48,280 | 66.60% | 24,184 | 33.40% | 72,464 |
2019 | 48,715 | 68.20% | 22,696 | 31.80% | 71,411 |
2020 | 46,261 | 69.00% | 20,821 | 31.00% | 67,082 |
2021 | 48,028 | 68.20% | 22,391 | 31.80% | 70,419 |
2022 | 45,104 | 68.50% | 20,742 | 31.50% | 65,846 |
2023 | 46,998 | 70.50% | 19,683 | 29.50% | 66,681 |
‘15~’23 연평균 증가율 |
-0.40% | -0.90% | -0.50% |
* 비중은 전체 생산량 대비 전로강과 전기로강의 비중을 나타냄
** 출처 : KOSIS 철강생산량
(URL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63&tblId=TX_36301_A000&vw_cd=MT_ZTITLE&list_id=L_16&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철강 제품 생산량(1)
(단위 : 천톤)
구분 | 형강 | H형강 | 봉강 | 철근 | 선재 |
---|---|---|---|---|---|
2015 | 4,514 | 3,166 | 3,087 | 9,801 | 3,242 |
2016 | 4,397 | 3,259 | 2,790 | 10,341 | 3,252 |
2017 | 4,465 | 3,327 | 2,915 | 11,296 | 3,300 |
2018 | 4,783 | 3,453 | 3,344 | 10,618 | 3,544 |
2019 | 4,641 | 3,335 | 2,961 | 9,938 | 3,471 |
2020 | 4,431 | 3,214 | 3,008 | 9,403 | 3,658 |
2021 | 4,307 | 3,177 | 3,865 | 10,414 | 3,700 |
2022 | 4,124 | 3,048 | 3,499 | 9,990 | 2,666 |
2023 | 3,769 | 2,721 | 3,229 | 9,489 | 2,854 |
‘15~’23 연평균 증가율 |
-2.20% | -1.90% | 0.60% | -0.40% | -1.60% |
* 출처 : KOSIS 철강생산량
(URL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63&tblId=TX_36301_A000&vw_cd=MT_ZTITLE&list_id=L_16&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철강 제품 생산량(2)
(단위 : 천톤)
구분 | 중후판 | 열연강판 | 냉연강판 | 용융아연도강판 | 전기아연도강판 | 컬러강판 | 석도강판 | 강관 |
---|---|---|---|---|---|---|---|---|
2015 | 10,039 | 17,534 | 10,128 | 7,798 | 1,548 | 1,896 | 627 | 4,927 |
2016 | 9,503 | 17,605 | 9,908 | 8,147 | 1,722 | 2,051 | 670 | 5,207 |
2017 | 8,986 | 16,767 | 9,826 | 8,439 | 1,849 | 2,054 | 613 | 5,639 |
2018 | 9,393 | 16,964 | 10,004 | 8,117 | 1,765 | 2,270 | 621 | 5,007 |
2019 | 9,524 | 17,767 | 9,687 | 8,161 | 1,635 | 2,235 | 606 | 4,649 |
2020 | 9,018 | 17,266 | 8,720 | 7,279 | 1,586 | 2,044 | 592 | 4,513 |
2021 | 8,889 | 17,431 | 9,513 | 7,627 | 1,672 | 2,384 | 635 | 4,626 |
2022 | 8,343 | 15,157 | 8,649 | 3,120 | 1,388 | 2,148 | 589 | 4,587 |
2023 | 8,834 | 16,578 | 8,589 | 3,418 | 1,437 | 2,239 | 565 | 4,676 |
‘15~’23 연평균 증가율 |
-1.60% | -0.70% | -2.00% | -9.80% | -0.90% | 2.10% | -1.30% | -0.70% |
* 출처 : KOSIS 철강생산량
(URL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63&tblId=TX_36301_A000&vw_cd=MT_ZTITLE&list_id=L_16&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국내 철강제품 가격 동향
철강업종의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제품의 가격은 지난 10년간(’15~‘24년) 연평균 4~11% 정도 상승하였다. 철강 생산의 원료인 철광석, 철스크랩의 가격을 보면, 철광석은 ’24년 평균 122달러/톤에 거래되었으며, 철스크랩은 국외 473달러/톤이며, 국내는 379천원/톤 수준으로써, 국내 철스크랩의 가격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 산업에서 사용하는 후판의 경우 1,566달러/톤으로, ‘15년과 비교하여 2.47배가 된 것으로 나타나 가장 큰 가격 상승을 나타냈다.
철강제품 관련 가격 동향
(단위 : 달러/톤, 천원/톤)
구분 | 철광석 | 철스크랩-국내 | 철스크랩-국외 | 철근 | 후판 | 열연 | 냉연 |
---|---|---|---|---|---|---|---|
2015 | 68 | 189 | 300 | 648 | 633 | 506 | 648 |
2016 | 57 | 207 | 252 | 587 | 607 | 571 | 787 |
2017 | 76 | 274 | 335 | 652 | 759 | 681 | 901 |
2018 | 74 | 312 | 410 | 762 | 1,018 | 912 | 1,050 |
2019 | 93 | 276 | 361 | 728 | 866 | 661 | 843 |
2020 | 109 | 232 | 336 | 606 | 662 | 656 | 850 |
2021 | 160 | 436 | 567 | 999 | 1,532 | 1,762 | 2,023 |
2022 | 102 | 489 | 303 | 1,133 | 1,850 | 867 | 1,259 |
2023 | 118 | 433 | 491 | 1,031 | 1,638 | 1,080 | 1,298 |
2024 | 122 | 379 | 473 | 978 | 1,566 | 941 | 1,188 |
‘15~’24 연평균 증가율 |
6.70% | 8.00% | 5.20% | 4.70% | 10.60% | 7.10% | 7.00% |
주1) 철스크랩-국내만 단위 천원/톤 적용함
주2) 철광석 : 국내수입평균가격(통관기준) / 철스크랩(국내) : 경량A 가격
철스크랩(수입) : 국내수입평균가격(통관기준) / 철근, 열연, 냉연 : 미국 내수가격(중서부) 연말기준
*출처 : e-나라지표(URL :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143)
국내 철강제품 내수 및 수출입 동향
철강 제품의 국내 소비는 ’23년 기준 52.4백만톤이며, 팬데믹 이전 ‘19년 53.2백만톤과 비교하여 큰 변화는 없으며, ’15~‘23년 연평균 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량은 ’23년 기준 27.3백만톤이었는데, 이는 ‘19년 대비 3백만톤 가량 감소한 수치이다. 또한 ’17년 이후 수출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세계적 공급과잉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철강 제품은 수출 10대 품목에 해당하며, 최근 3년간 전체 업종에서 6~7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수출금액 기준으로 약 3.2~3.5% 정도 차지하고 있어, 수출 감소는 국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수입량은 ‘23년 15.5백만톤이었는데, ‘19년 대비 50%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19년 수입량이 ‘18년 대비 35%, ’17년 대비 50% 감소한 상태였기 때문에 기존(‘15~’17년) 수입량보다 적은 상황이다.
철강 소비 및 수출
(단위 : 백만톤)
구분 | 2015 | 2017 | 2019 | 2021 | 2022 | 2023 | ‘15~’23년 연평균 증감율 |
---|---|---|---|---|---|---|---|
명목소비 | 55.8 | 56.4 | 53.2 | 56 | 51.3 | 52.4 | -0.80% |
수출 | 31.6 | 31.7 | 30.4 | 27.1 | 25.7 | 27.3 | -1.80% |
수입 | 22.1 | 19.7 | 10 | 14.5 | 14.1 | 15.5 | -4.30% |
* 출처 : e-나라지표, 철강산업동향
(URL :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152)
국내 수출 10대 품목 및 비중
(단위 : 백만달러)
순위 | 2021 | 2022 | 2023 | ||||||
---|---|---|---|---|---|---|---|---|---|
품목 | 금액 | 비중* | 품목 | 금액 | 비중 | 품목 | 금액 | 비중 | |
1 | 반도체 | 127,980 | 19.90% | 반도체 | 129,229 | 18.90% | 반도체 | 98,630 | 15.30% |
2 | 자동차 | 46,465 | 7.20% | 석유제품 | 62,875 | 9.20% | 자동차 | 70,864 | 11.00% |
3 | 석유제품 | 38,121 | 5.90% | 자동차 | 54,067 | 7.90% | 석유제품 | 51,999 | 8.10% |
4 | 합성수지 | 29,144 | 4.50% | 합성수지 | 28,078 | 4.10% | 자동차부품 | 22,954 | 3.60% |
5 | 선박해양구조물 및부품 |
22,988 | 3.60% | 자동차부품 | 23,316 | 3.40% | 합성수지 | 22,944 | 3.60% |
6 | 자동차부품 | 22,776 | 3.50% | 철강판 | 22,401 | 3.30% | 선박해양구조물 및부품 |
21,792 | 3.40% |
7 | 철강판 | 22,494 | 3.50% | 평판시스플레이 및센서 |
21,299 | 3.10% | 철강판 | 20,729 | 3.20% |
8 | 평판디스플레이 및센서 |
21,573 | 3.30% | 정밀화학원료 | 18,799 | 2.80% | 평판시스플레이 및센서 |
18,738 | 2.90% |
9 | 컴퓨터 | 16,816 | 2.60% | 선박해양구조물 및부품 |
18,178 | 2.70% | 정밀화학원료 | 19,127 | 3.00% |
10 | 무선통신기기 | 16,194 | 2.50% | 무선통신기기 | 17,231 | 2.50% | 무선통신기기 | 15,465 | 2.40% |
*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 출처 : e-나라지표 10대 수출입 품목
(URL :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55)
헤외 동향
2023년 글로벌 철강 생산능력은 25억톤을 돌파하며 생산능력에 대한 투자와 대폭적인 성장을 보였다. 이러한 증가는 전 세계적으로 철강업의 강력한 확장 노력과 전략적 투자에 기인하고 있다.
국가별 조강생산량을 보면 중국은 여전히 전 세계 철강 생산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남아 있으며, 2023년 생산량을 약 10억 2천만 톤으로 유지하여 전 세계 총 생산량의 약 53%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안정성은 지속적인 산업화, 도시화 및 상당한 정부 인프라 투자에 힘입어 수년간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것이다.
인도의 철강 생산량은 11.8% 증가한 1억 4,020만 톤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은 광범위한 인프라 프로젝트와 호황을 누리고 있는 건설 부문에 기인하고 있다. 일본의 생산량은 혼합된 경제 상황과 산업 활동을 반영하여 2.5% 감소한 8,700만 톤을 기록했으며 미국은 인프라 프로젝트와 자동차 판매 회복에 힘입어 8,070만 톤을 생산하여 0.2%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생산량은 5.6% 증가한 7,580만 톤으로, 회복과 확대 추세에 있으며 한국은 생산량이 1.3% 증가하여 6,670만 톤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터키와 브라질은 각각 4%와 6.5%의 생산량 감소를 겪었다.
연도별 조강생산량을 보면 세계 철강 산업은 2000년 8억 5천만 톤에서 2021년 약 19억 5천만 톤으로 성장하여 연평균 4.0%의 성장률을 보였다. 2022년 전 세계 철강 생산량은 약 20억 톤에 달했으며, 중국이 전체 생산량의 52.9%를 차지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3년 전 세계 조강 생산량은 약 20억 5천만 톤으로 2022년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세계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과 다양한 부문에 걸친 철강 수요 증가를 반영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 조강 생산량(단위 : 백만톤)

* ( ) 전년 대비 증감비율을 나타냄
** 출처 : 철강통계월보-2024년 6월, 한국철강협회
참고문헌
1. 에너지효율향상가이드-철강, 산업통상자원부, 2013
2. 최근 미국발 무역분쟁으로 인한 철강업계 고용영향 및 대응방안, 재료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9
3. e-나라지표, 10대 수출입 품목 (URL :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55)
4. e-나라지표, 철강산업동향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152)
5. e-나라지표, 철강가격동향 (URL :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143)
6. KOSIS 철강생산량, (URL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63&tblId=TX_36301_A000&vw_cd=MT_ZTITLE&list_id=L_16&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