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비철금속

비철금속

업종개요

광업

비철금속

비철금속 비철금속은 철을 제외한 금속을 총칭하며 금속의 비중이나 성질에 따라 동 · 연 · 아연 · 주석 · 니켈 등의 중금속과 알루미늄 · 마그네슘 · 티타늄 등의 경금속 그리고 금 · 은 · 백금 등의 귀금속 및 기타 방사성금속, 희유금속, 신금속등으로 구분되며 그 종류는 100여 종에 달한다. 이중에서도 특히 산업의 소재로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알루미늄, 동, 아연, 연을 4대 비철금속(니켈, 주석을 포함하여 6대 비철금속)이라 한다.
이들 비철금속은 각기 특유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대체로 열 및 전기전도율이 양호하고 용융점이 낮으며 각 금속이 갖는 특유한 성질에 따라 단일금속 또는 합금형태로 전기 · 전자, 반도체, 통신, 자동차, 기계, 금속, 조선, 화학, 건축, 방위산업 등 중화학공업을 비롯하여 전 산업분야에 기초소재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어 전후방산업에 대한 연관 효과가 큰 기간산업이다.
2020년도 알루미늄괴 등 6개 품목의 총합계인 비철금속 수급량은 4,362,700톤으로 2019년도 대비 약 3.3% 감소하였다.

산업동향

비철금속산업 개념 및 범위

비철금속은 철을 제외한 금속의 총칭이며 대체로 열 및 전기 전도율이 양호하고 내식성이 우수하며 용융점이 낮아 합금이 용이하여 단일 금속이나 합금 형태로 많이 활용한다. 전기, 전자, 반도체, 정보통신, 자동차, 화학, 방산부문에 기초소재로 공급되어 전후방 연관효과가 매우 높은 산업이다. 비철금속은 경제적 중요도에 따라 동(Cu), 알루미늄(Al), 연(Pb), 아연(Zn) 등을 4대 비철금속이라고 하며 니켈(Ni)과 주석(Sn)을 포함하여 6대 비철금속이라고 칭한다.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비철금속 제조업은 코드 24로 시작하는 ‘1차 금속 제조업’에 포함되어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코드 242로 시작하는 업종이 포함된다.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은 비철금속인 동, 알루미늄, 연, 아연 등의 광석・괴(덩어리) 및 스크랩 등을 제련, 정련 또는 합금하여 분, 입, 괴, 퍼들바, 빌렛, 블룸, 슬라브 및 기타 1차 형재를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제련 및 정련활동에 결합되어 수행되는 압연 및 연신활동도 여기에 포함된다.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은 비철금속 형재 또는 비철금속합금 형재를 압연・압출・인발 및 기타 방법으로 가공처리하여 1차 형태의 박판, 시트, 선, 봉, 바, 대 및 관 등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화폐용 금을 생산하거나 적층 및 압연활동에 결합된 표면처리 활동과 단공 비철금속 강재 생산도 여기에 포함된다. ‘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은 구입한 1차 또는 반제품상태의 비철금속재를 절단, 분쇄 및 표면처리 및 기타 가공하여 원재료 상태의 절단제품, 분말, 조각, 플레이크 및 표면처리 강재 등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이 포함된다

한국표준산업분류 상의 비철금속 업종

한국표준산업분류 상의 비철금속 업종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242]
1차 비철금속 제조업
[2421]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24211] 동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24212] 알루미늄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24213] 연 및 아연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24219] 기타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2422]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24221]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24222]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24229] 기타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 제품 제조업
[2429]
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
[24290] 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

*출처 : 한국표준산업분류, 통계청, 2024

비철금속 산업의 특징

비철금속은 전자ㆍ전기, 자동차, 건설, 철강, 전선, 화학, 조선, 반도체 등 주요기간 산업에 기초 원자재를 공급하는 소재산업으로써, 기간산업의 발전과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동반성장이 필요한 산업으로 볼수 있다. 하지만 비철금속은 다품종 소량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대기업이 적응하기에는 어려우며, 중소기업의 경우 첨단산업의 기초 소재 기술 및 지식이 부족하여 국가적인 조정과 지원이 필요한 산업으로도 볼 수 있다.

청정에너지 전환 및 우주개발 등에 비철금속의 용도가 많아 향후 비철금속의 수요는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비철금속 광산이 주로 경제개발국에 위치하고 있고 매장량도 편중되어 있어, 정치경제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분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비철금속의 안정된 공급망 확보가 필요하다.

비철금속산업 현황

‘21년 기준 1차 비철금속 제조업에 포함되는 업체의 수는 753개이며, 종사자의 수는 32,590명이다. 출하액은 약 53조원으로써, 전체 제조업 대비 3%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부가가치액은 9조 5천억원 수준이다. 이는 ’20년 대비 업체수, 종사자수, 출하액 모두 증가한 수치이다.

국내의 비철금속 생산량은 249만톤(‘20년 기준)으로써, 세계 8위 정도 수준을 나타낸다. 세계적으로 중국이 6,135만톤 생산하여 세계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공급망 불안정성을 세계적으로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21년 기준 1차 비철금속산업 현황

'21년 기준 1차 비철금속산업 현황
업종 업체수
(개)
종사자수
(명)
출하액
(10억원)
부가가치
(10억원)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구리 31 1,726 11,120 834
알루미늄 116 3,826 5,298 914
납·아연 41 3,551 9,539 2,025
기타 34 896 2,813 326
소계 222 10,034 28,770 4,099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구리 118 8,097 12,013 2,141
알루미늄 303 11,007 9,381 2,711
기타 40 1,532 2,143 267
소계 461 20,636 23,537 5,119
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 70 1,920 853 256
소계 753 32,590 53,160 9,474

*출처: 2024년도 비철금속 수급전망, 한국비철금속협회, 2023

세계 비철금속 생산 현황

세계 비철금속 생산 현황
순위 국가 2018 2019 2020
1 중국 56,857.40 58,961.20 61,358.30
2 러시아 5,247.70 5,476.00 5,426.40
3 인도 4,859.90 5,287.80 5,271.80
4 캐나다 4,222.00 4,161.00 4,378.50
5 미국 3,259.80 3,446.00 3,216.00
6 호주 2,752.80 2,662.90 2,718.90
7 U.A.E 2,542.30 2,453.20 2,495.00
8 한국 2,610.10 2,445.60 2,491.80
9 일본 2,461.20 2,269.10 2,329.30
10 독일 2,640.00 2,579.00 2,241.10

*출처: World Metal Statistics Yearbook 2021, World Bureau of Metal Statistics, 2021

비철금속 수급 및 수출입 동향

2023년도 알루미늄괴 등 6개 품목의 총합계인 비철금속 수급량은 4,344,984톤으로 전년대비 약 3.1%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알루미늄괴와 주석괴는 각각 0.9% 증가(1,519,621톤 → 1,532,915톤), 4.4%(13,139톤 → 13,714톤) 증가한 반면, 전기동과 연괴 및 아연괴 등은 각각 11.3%(849,156톤 → 957,148톤), 5%(914,256톤 → 868,482톤), 0.1%(989,405톤 → 988,884톤) 감소하였다.

비철금속 제품별 수급 추이(톤, %)

비철금속 제품별 수급 추이(톤, %)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수급량 증가율 수급량 증가율 수급량 증가율 수급량 증가율 수급량 증가율 수급량 증가율
알루미늄괴 1,446,299 -10.8 1,508,451 4.3 1,389,820 -7.9 1,544,513 11.1 1,519,621 -1.6 1,532,915 0.9
전기동 935,992 -3.7 894,826 -4.4 889,513 -0.6 961,148 8.1 957,148 -0.4 849,156 -11.3
연괴 947,633 1.2 919,669 -3 898,199 -2.3 964,525 7.4 914,256 -5.2 868,482 -5
아연괴 1,069,871 4.3 1,020,837 -4.6 1,033,712 1.3 976,682 -5.5 989,405 1.3 988,884 -0.1
니켈괴 107,105 3.1 109,521 2.3 93,069 -15 99,177 6.6 92,603 -6.6 91,833 -0.8
주석괴 14,268 5.6 12,436 -12.8 13,972 12.4 14,861 6.4 13,139 -11.6 13,714 4.4

*출처 : e-나라지표, 비철금속 국내 수급현황을 참고하여 재구성함
(http://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79)

’23년 기준 비철금속 수출액 13,472백만달러이고, 수입액은 19,350백만달러로, 약 5,878백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전년과 비교했을 때, 수출액은 17% 감소하였고, 수입액은 15% 정도 감소하였다. 국내 및 세계 경제의 둔화로 비철금속의 수요가 감소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비철금속 수출입 현황(백만달러)

비철금속 수출입 현황(백만달러)
구분 2021 2022 2023
수출 15,571 16,231 13,472
수입 20,949 22,871 19,350

*출처: 2024년도 비철금속 수급전망, 한국비철금속협회, 2023

비철금속 향후 전망

한국비철금속협회에서 전망한 2024년도 6대 비철금속 품목별 국내 수급 변화는 다음과 같다.

비철금속 6대 품목 ‘24년 수급전망

비철금속 6대 품목 ‘24년 수급전망
구 분 내 용
알루미늄괴 내수 상고하저로 점진적인 경기 반등세로 2.5% 소폭 증가할 전망
수출 기저효과 및 수출 반등세로 전년비 3.2% 증가할 전망
판매 국내생산이 없어 전량수입
수입 전년비 2.8% 수입량 증가, 합금괴 수입은 2.3% 소폭 증가 전망
전기동 내수 인플레이션 완화 추세, 미 연준의 기준금리 정점판단 영향으로 경기 반등세 전망하여 전년비 연간 2.1% 수준 증가 전망
수출 2024년 기저효과 및 금리인하 기대에 따른 수출 회복세, 중국의 전력생산량 증가로 인한 케이블 수요회복 기대로 전년비 12.2% 대폭 증가 전망
판매 내수·수출 동반 회복세로 전년비 3.8% 증가 전망
수입 경기 반등세 전망으로 6.0% 수준 수입량 증가할 전망
연괴 내수 기저효과 및 친환경차의 점진적인 수요회복 및 반등세로 전년비 2.7% 증가할 전망
수출 전기차 등 친환경차 수요 증가로 인한 내연기관 수요 정체로 전년비 1.4% 소폭 증가할 전망
판매 전년대비 기저효과 및 경기 반등세로 인한 생산량 증가로 전년비 2.1% 증가 전망
수입 3.0% 증가할 전망
아연괴 내수 전년비 0.6% 소폭 증가할 전망
수출 인도, 중국 등 개도국 수출 물량 확대로 전반적인 경기침체 여파에도 불구하고 3.3% 증가 전망
판매 기저효과 및 실물경기 반등 예상으로 2.1% 소폭 증가 전망
수입 인도, 페루 등 신흥국 수입증가로 6.7% 수입 증가 전망
니켈괴 내수 기저효과 및 경기 반등세 전망으로 전년비 1.9% 소폭 증가할 전망
수출 STS 내수 업황 및 수요 부진으로 인해 전략적으로 수출로 유도하여 전년과 비슷하게 증가할 전망
판매 2024년은 점진적 경기 반등세 예상하나, 판매는 국내 유틸리티니켈 제조업체인 코리아니켈의 니켈괴 사업철수 및 페로니켈 수요감소로 전체 생산·판매량이 전년과 비슷할 전망
수입 다소 경기반등 국면 진입으로 수입은 전년비 2.7% 소폭 증가할 전망
주석괴 내수 반도체 업황 호조 예상으로 2.3% 소폭 증가할 전망
수출 전년비 0.8% 소폭 수출 감소 전망
판매 국내생산이 없어 전량 수입의존
수입 반도체 업황 회복세로 전년비 2.2% 소폭 증가할 전망

*출처: 2024년도 비철금속 수급전망, 한국비철금속협회, 2023

참고문헌 1. 한국비철금속협회 홈페이지
2. e-나라지표, 비철금속 국내 수급현황 (URL : http://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79)
3. 신용보증기금, “국내 비철금속산업의 현황과 전망”, 자료.
4. 2024년도 비철금속 수급전망, 한국비철금속협회, 2023.12
5. 한국표준산업분류, 통계청, 2024
6. World Metal Statistics Yearbook 2021, World Bureau of Metal Statistics, 2021

협력사 안내

  • 이전버튼
  • 다음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