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풍력 시스템

풍력 시스템

시스템 개요

풍력 시스템 풍력발전은 바람이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풍력 터빈 등의 장치를 통해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고 그 에너지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구성요소는 크게 기계장치와 제어장치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때 기계장치는 풍력이 가진 에너지를 흡수 및 변환하는 운동량변환장치, 동력전달장치, 동력변환장치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 또한, 풍력발전시스템의 종류는 구조, 증속기 유무, 운전속도, 출력제어방식, 전력사용방식, 설치장소, 공기역학적방식 등에 따라 분류 가능함.

시스템 구성도

풍력 시스템 시스템 구성도
  • 해외 보급현황 및 정책

    ‘23년 누적 설치량은 1,021GW(육상 945GW, 해상 75GW)로써, ’22년 905GW(육상 841GW, 해상 64W) 대비 12.8% 증가하였음
    - 국가별로 전년 대비 증가율을 살펴보면 대만이 49%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네덜란드 27%, 중국 21%, 브라질 19%, 스웨덴 14% 수준이었음

    PDF다운로드
  • 국내 보급현황 및 정책

    한국풍력산업협회(KWEA)에 따르면, ‘23년 연말 기준 보급된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1,970MW이며, 운영되는 단지 수는 121개소임
    - ’23년 신규로 설치된 풍력발전설비는 7개 단지, 169.3MW이었으며, 이는 ‘22년 설치용량 94.8MW 대비 74.5MW가 증가한 수치임
    - 그리고 수명이 완료되거나 더 이상 운영할 수 없는 경우 철거되는 설비도 발생하는데, 최근 2년 동안 2.4MW(‘23년), 0.75MW(’22년) 철거되었음

    PDF다운로드
  • 국내외 보급현황 및 정책

    국내 ‘23년 연말 기준 보급된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1,970MW이며, 운영되는 단지 수는 121개소임. ’23년 신규로 설치된 풍력발전설비는 7개 단지, 169.3MW이었으며, 이는 ‘22년 설치용량 94.8MW 대비 74.5MW가 증가한 수치임.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풍력발전설비 보급목표는 ‘36년 기준 34GW로써, ’23년 설비용량 대비 15배 확대할 계획이었으며, 24년 9월 발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공청회(안))에 따르면, 보급목표는 ’30년 18.3GW, ‘38년 40.7GW로 나타남

    PDF다운로드

협력사 안내

  • 이전버튼
  • 다음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