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21.10월) - 2)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21.10월) - 3)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
('23.4월) - 4) 탄소중립 산업 대전환
비전과 전략
('21.12월) - 5) 에너지 탄소중립 혁신전략
('21.12월)
2050 탄소중립 사회가 실현되었을 때 우리나라의 미래상과 부문별 전환 내용 전망, 부문별 정책 방향과 전환속도를 제시
구성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2개 시나리오(A, B안) 구성
지난 8월 탄중위가 제시한 시나리오 초안 3개안 중, 석탄발전이 잔존하는 1안 삭제
부문별 감축 방향
-
전환
A·B안 모두 석탄발전 중단(A안은 LNG 발전도 중단), 재생에너지 대폭 확대
-
산업
철강 공정의 수소환원제철 도입, 시멘트·석유·화학·정유 과정에 투입되는 화석 연·원료를 재생 연·원료로 전환
-
건물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향상(제로에너지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냉·난방 및 급탕 시 저탄소·청정에너지(태양광, 지열, 수열 등) 보급
-
수송
무공해차 보급 확대(A안 97% 이상, B안 85% 이상), 대중교통 및 개인 모빌리티 이용 확대
-
농축수산
저탄소 영농법 확대(논물 관리방식 개선, 질소질 비료 저감), 가축분뇨 자원순환 확대 및 저탄소 가축관리시스템 구축
-
폐기물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확대, 바이오 플라스틱 대체, 바이오가스의 에너지 활용(메탄가스 회수 등)
-
수소
수소 수요 27.4~27.9백만톤 예상, 국내 생산수소를 100% 그린 수소(A안), 일부 추출 수소 또는 부생 수소 공급(B안)
-
흡수원
산림 생태복원, 도시숲 등 신규조림 확대, 연안 및 내륙습지 신규 조성 등 흡수원 확보(25.3백만톤 흡수)
-
CCUS
A안 55.1백만톤 처리, B안 84.6백만톤 처리(부문별 배출량 차이에 따라 CCUS 처리량 차이)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최종(안) 총괄표
(단위 : 백만톤CO2eq)
구분 | 부문 | '18년 | 최종본 | 비고 | |
---|---|---|---|---|---|
A안 | B안 | ||||
배출량 | 686.3 | 0 | 0 | ||
배출 | 전환 | 269.6 | 0 | 20.7 |
|
산업 | 260.5 | 51.1 | 51.1 | ||
건물 | 52.1 | 6.2 | 6.2 | ||
수송 | 98.1 | 2.8 | 9.2 |
|
|
농축수산 | 24.7 | 15.4 | 15.4 | ||
폐기물 | 17.1 | 4.4 | 4.4 | ||
수소 | - | 0 | 9 |
|
|
탈루 | 5.6 | 0.5 | 1.3 | ||
흡수 및 제거 | 흡수원 | -41.3 | -25.3 | -25.3 | |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CCUS) | - | -55.1 | -84.6 | ||
직접공기포집 (DAC) | - | - | -7.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