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탄소중립 개요

  • NDC 목표

    '30년 배출량 목표는 436.6백만톤('18년 대비 40% 감축)으로 유지하며, 감축수단별 이행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부문간·부문내 배출량 목표를 일부 조정

  • 개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여 탄소중립 사회로 이행하고,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전략 수립

부문별 감축 방향

  • 전환

    석탄발전 감축, 원전(('21년)27.4%→('30년)32.4%) 및 신재생에너지(('21년)7.5%→('30년)21.6%+α) 확대 등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

    전력 계통망, 저장체계 등 기반구축시장원리에 기반한 합리적인 에너지 요금체계 구축 등 '18년 대비 '30년 45.9% 감축

  • 산업

    온실가스가 많이 배출되는 기술 및 연·원료 전환 대안 확보펀드, 보조, 융자 등 기업의 투자 부담 경감배출권 거래제 배출효율기준할당 및 유상할당 확대 등을 통한 감축활동 유도 등을 통해 11.4% 감축

  • 건물

    신축 건물의 제로에너지화(('22년) 2,950건→('30년) 47,000건) 및 그린리모델링 등 에너지효율 강화

    건물 성능 정보 공개를 통한 효율 개선 등을 통해 32.8% 감축

  • 수송

    전기·수소차 보급, 내연기관차의 전기화, 이동수단의 저탄소화내연차의 온실가스·연비기준 강화 ▴대중교통 활성화 등을 통해 37.8% 감축

  • 농축수산

    스마트팜, 저탄소 생산기술 및 농기계 개발저메탄사료 개발 및 보급('22년) 0% → ('30년) 30%, 가축분뇨 활용

    LPG·하이브리드 어선개발, 양식·수산가공업 저탄소·스마트화 등을 통해 27.1% 감축

  • 폐기물

    폐기물 감량 설비 지원유용폐자원의 안정적 공급체계 마련폐배터리 등 고부가가치 재활용 확대 등을 통한 46.8% 감축

  • 수소

    그린수소 생산 등 핵심기술 실증 및 인프라 구축청정수소 공급 확대 ('22) 0%→('30) 2.1%수소활용 생태계 강화수소 모빌리티 확대 ('22) 29,733대→('30) 300,000대수소 클러스터 지정 등 수소 활용범위 확대

  • 흡수원

    산림·해양·습지·정주지 등 흡수원 강화·복원도시숲 등 신규 흡수원 확대MRV(산정·보고·검증)체계 고도화 등을 통해 26.7백만톤 흡수

  • CCUS

    CCUS 제도적 기반마련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개발·실증 강화CCS 추가 저장소 확보 등을 통해 11.2백만톤 흡수

  • 국제감축

    국제감축사업 이행 기반 마련환경·산업·산림·해양·국토 등 부문별 국제감축사업 발굴협정체결 대상국 확대 등을 통해 37.5백만톤 감축

부문별 감축목표

(단위: 백만톤CO2e, 괄호는 '18년 대비 감축률)

구분 부문 2018년
배출량
2030 목표
기존 NDC ('21.10) NDC 상향안
('18년 比 감축률)
배출량 합계 727.6 436.6 (40.0%) 436.6 (△291.0, △40.0%)


배출
전환 269.6 149.9 (44.4%) 149.9 (△44.4%)
산업 260.5 222.6 (14.5%) 222.6 (△14.5%)
건물 52.1 35.0 (32.8%) 35.0 (△32.8%)
수송 98.1 61.0 (37.8%) 61.0 (△37.8%)
농축수산 24.7 18.0 (27.1%) 18.0 (△27.1%)
폐기물 17.1 9.1 (46.8%) 9.1 (△46.8%)
수소 (-) 7.6 7.6
탈루 등 5.6 3.9 3.9
흡수
·
제거
흡수원 (-41.3) -26.7 -26.7
CCUS (-) -10.3 -10.3
국제감축 (-) -33.5 -33.5

※ 기준연도('18) 배출량은 총배출량 / '30년 배출량은 순배출량 (총배출량 – 흡수·제거량)
1)태양광, 수소 등 청정에너지 확대로 400만톤 추가 감축
2)수소수요 최신화(블루수소 +10.5만톤), 블루수소 관련 탄소포집량은 C US 부문에 반영(0.8백만톤)
3)국내 CCS 잠재량 반영(0.8백만톤), CCU 실증경과 등을 고려한 확대(0.1백만톤)
4)민관협력 사업 발굴 및 투자 확대 등을 통해 국제감축량 400만톤 확대

부문별 · 연도별 감축목표

(단위: 백만톤CO2e)

부문 2018
(기준연도)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합계 686.3* 633.9 625.1 617.6 602.9 585.0 560.6 529.5 436.6**
전환 269.6 223.2 218.4 215.8 211.8 203.6 189.9 173.7 145.9
산업 260.5 256.4 256.1 254.8 252.9 250.0 247.3 242.1 230.7
건물 52.1 47.6 47.0 46.0 44.5 42.5 40.2 37.5 35.0
수송 98.1 93.7 88.7 84.1 79.6 74.8 70.3 66.1 61.0
농축수산 24.7 22.9 22.4 21.9 21.2 20.4 19.7 18.8 18.0
폐기물 17.1 15.1 14.7 14.1 13.3 12.5 11.4 10.3 9.1
수소 (-) 3.4 4.1 4.8 5.5 6.2 6.9 7.6 8.4
탈루 등 5.6 5.1 5.0 5.0 4.9 4.8 4.5 4.2 3.9
흡수원 -41.3 -33.5 -31.3 -28.9 -30.4 -29.1 -28.3 -27.6 -26.7
CCUS (-) - - - -0.4 -0.7 -1.3 -3.2 -11.2

* 국제사회에 제출된 ’18년 총 배출량은 727.6백만톤이나 순배출량 기준으로는 686.3백만톤이며, 모든 연도별 합계는 순배출량 기준(부문별 소수점 첫째자리 아래 절삭)
** 국제감축은 관련 국제기준 확정, 최초 활용시기(‘26년 예상) 등을 고려하여 연도별 목표를 설정할 예정으로 ’30년 목표에만 반영

협력사 안내

  • 이전버튼
  • 다음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