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시스템
시스템 개요
건물 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에너지 사용량 중 약 20%를 건축물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약 80%가 냉·난방과 조명에너지로 사용됨.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건축물이 차지하고 있음. 그만큼 건물부분에서의 에너지와 온실가스배출량의 절감은 중요함. 이 문서에서는 건축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이론들과 구체적인 에너지 절감기술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건축물에너지에 대한 현황, 건축물 에너지 국내외 제도, 건축물 종류, 건축물 열환경, 건축물 부하 등에 대해서 설명함.
시스템 구성도

-
제로에너지 건축물(국내)
(정책동향) 2020년 공공부문 ZEB 의무화를 시작으로 ZEB 인증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ZEB 확산 가속화 및 시장 혼란 최소화를 위해 분리된 유사인증제도 통합·간소화
PDF다운로드 -
BEMS 보급동향
제도현황) 국내 BEMS는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을 근거로 하는 공공건물 BMES 설치확인 의무화 제도와,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을 근거로 하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제도가 있음
PDF다운로드 -
전 세계 시장동향
가구 수가 많아질수록 제로에너지건축물에서 주로 채택하는 태양광 발전만으로 5대 에너지소비(난방·온수·냉방·조명·환기)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임. 향후 고층건물의 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를 위해, 전력수요 증가 시 활용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외의 액티브 요소 발굴 필요. 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를 위해 인센티브의 실효성을 높이고, 제로에너지 건축에 소요되는 추가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마련 필요함.
PDF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