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시스템 |
융자 |
ESCO 투자사업 |
절약시설 설치사업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
자금융자실 |
상세보기 |

-
신청대상
융자 지원 신청 대상
- 에너지사용자와 성과확정계약 또는 사업자 파이낸싱 성과보증계약을 체결한 ESCO 또는 ESCO와 사용자 파이낸싱 성과보증계약을 체결한 에너지사용자
-
대상설비상세
지원 대상 설비유형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따라 인증 받은 기자재로 유효기간 이내인 것
-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별표 1]의 세부내역 31번
-
지원조건
2024년 기준 보조금 지원 조건
- 지원비율은 소요자금의 100% 이내(ESCO 투자사업에 해당)
- 소요자금 범위는 해당시설(중고설비 제외) 및 부대설비의 구입비, 설치공사비, 설계·감리비(기술도입비 포함), 시운전비 등에 한함
2024년 기준 대출 조건
- 3년 거치 7년 분할상환(단열 개·보수 사업은 5년거치 10년 분할상환)
- 이자율은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운용요령」에 따름
-
지원규모
2024년 기준 해당연도 동일투자 사업장당 지원한도액은 300억원임
-
참고문헌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헌 및 웹사이트를 참조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 -293호, 2024.04.01
(URL :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f724eb567/210792/view)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절약시설투자 자금지원 및 세제지원 제도 소개
(URL : https://www.energy.or.kr/front/conts/105003001008000.do)
-
링크1
바로가기
-
링크2
바로가기
|
ESS 시스템 |
보조금 지원 |
전력효율향상사업 |
부하관리기기 지원 |
최대전력관리장치 |
수요정책실 |
상세보기 |

-
신청대상
보조금 신청 대상
- 계약전력 500kW이상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고객
- 한전이 지원대상 기기로 인정한 최대전력관리장치를 설치한 고객
-
대상설비상세
지원 대상 설비 - 최대전력관리장치
- 한전이 선정한 4개업체 6개 모델(※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참조)
-
지원조건
2024년 기준 보조금 지원 조건
- 설치지원금 : 대당 3,500천원 정액지원
-
지원규모
2024년 기준 총 예산 규모 272백만원
-
참고문헌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헌 및 웹사이트를 참조
- 2024년 최대전력관리장치 보급사업 시행공고, 2024.03.26
(URL : https://home.kepco.co.kr/kepco/CY/K/F/CYKFPP003/main.do?menuCd=FN020713)
- 한국에너지공단 전력효율향상사업 소개
(URL : https://www.energy.or.kr/front/conts/105002004001000.do)
-
링크1
바로가기
-
링크2
바로가기
|
ESS 시스템 |
융자 |
절약시설 설치사업 |
절약시설 설치사업 |
ICT(정보통신기술)활용 에너지관리시스템(EMS) |
자금융자실 |
상세보기 |

-
신청대상
융자 지원 신청 대상
- 중소기업, 중견기업, 비영리법인, 공공기관
- 에너지 효율혁신 파트너십(KEEP 30) 참여기업의 사업장(KEEP 30 협력업체를 포함함)
-
대상설비상세
지원 대상 설비유형 - ICT(정보통신기술)활용 에너지관리시스템(EMS)
- ICT기술*을 활용하여 공장(FEMS)등의 에너지를 절약하는 사업
*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2조 제1항 제2호에 따른 소프트웨어, 계측장비, 통신기기 등을 나타냄
-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별표 1]의 세부내역 73번
-
지원조건
2024년 기준 보조금 지원 조건
- 지원비율은 소요자금의 70% 이내(중소기업 및 비영리법인은 90% 이내)로 함
- 에너지 효율혁신 파트너십(KEEP 30) 참여기업에 해당하는 대기업은 50% 이내로 함
- 소요자금 범위는 해당시설(중고설비 제외) 및 부대설비의 구입비, 설치공사비, 설계·감리비(기술도입비 포함), 시운전비 등에 한함
2024년 기준 대출 조건
- 3년 거치 5년 분할상환
- 이자율은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운용요령」에 따름
-
지원규모
2024년 기준 해당연도 동일투자 사업장당 지원한도액은 300억원임
-
참고문헌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헌 및 웹사이트를 참조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 -293호, 2024.04.01
(URL :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f724eb567/210792/view)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절약시설투자 자금지원 및 세제지원 제도 소개
(URL : https://www.energy.or.kr/front/conts/105003001008000.do)
-
링크1
바로가기
-
링크2
바로가기
|
ESS 시스템 |
융자 |
절약시설 설치사업 |
절약시설 설치사업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
자금융자실 |
상세보기 |

-
신청대상
융자 지원 신청 대상
- 중소기업, 중견기업, 비영리법인, 공공기관
- 에너지 효율혁신 파트너십(KEEP 30) 참여기업의 사업장(KEEP 30 협력업체를 포함함)
-
대상설비상세
지원 대상 설비유형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따라 인증 받은 기자재로 유효기간 이내인 것
-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별표 1]의 세부내역 31번
-
지원조건
2024년 기준 보조금 지원 조건
- 지원비율은 소요자금의 70% 이내(중소기업 및 비영리법인은 90% 이내)로 함
- 에너지 효율혁신 파트너십(KEEP 30) 참여기업에 해당하는 대기업은 50% 이내로 함
- 소요자금 범위는 해당시설(중고설비 제외) 및 부대설비의 구입비, 설치공사비, 설계·감리비(기술도입비 포함), 시운전비 등에 한함
2024년 기준 대출 조건
- 3년 거치 5년 분할상환
- 이자율은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운용요령」에 따름
-
지원규모
2024년 기준 해당연도 동일투자 사업장당 지원한도액은 300억원임
-
참고문헌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헌 및 웹사이트를 참조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 -293호, 2024.04.01
(URL :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f724eb567/210792/view)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절약시설투자 자금지원 및 세제지원 제도 소개
(URL : https://www.energy.or.kr/front/conts/105003001008000.do)
-
링크1
바로가기
-
링크2
바로가기
|
ESS 시스템 |
융자 |
ESCO 투자사업 |
절약시설 설치사업 |
전력저장장치 |
자금융자실 |
상세보기 |

-
신청대상
융자 지원 신청 대상
- 에너지사용자와 성과확정계약 또는 사업자 파이낸싱 성과보증계약을 체결한 ESCO 또는 ESCO와 사용자 파이낸싱 성과보증계약을 체결한 에너지사용자
-
대상설비상세
지원 대상 설비유형 - 전력저장장치
-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경우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 다만, 신재생에너지 설비와 연계된 시스템은 제외
-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별표 1]의 세부내역 84번
-
지원조건
2024년 기준 보조금 지원 조건
- 지원비율은 소요자금의 100% 이내(ESCO 투자사업에 해당)
- 소요자금 범위는 해당시설(중고설비 제외) 및 부대설비의 구입비, 설치공사비, 설계·감리비(기술도입비 포함), 시운전비 등에 한함
2024년 기준 대출 조건
- 3년 거치 7년 분할상환(단열 개·보수 사업은 5년거치 10년 분할상환)
- 이자율은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운용요령」에 따름
-
지원규모
2024년 기준 해당연도 동일투자 사업장당 지원한도액은 300억원임
-
참고문헌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헌 및 웹사이트를 참조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 -293호, 2024.04.01
(URL :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f724eb567/210792/view)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절약시설투자 자금지원 및 세제지원 제도 소개
(URL : https://www.energy.or.kr/front/conts/105003001008000.do)
-
링크1
바로가기
-
링크2
바로가기
|
ESS 시스템 |
융자 |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 사업 |
|
전력저장장치 |
자금융자실 |
상세보기 |

-
신청대상
융자 지원 신청 대상
- 지원대상사업을 추진하는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비영리법인 및 공공기관
-
대상설비상세
지원 대상 설비유형 및 용도 - 전력저장장치
- 배터리·압축공기 등의 에너지저장원, 전력제어장치(PCS), 배터리 및 에너지관리시스템 등 제반 운영시스템
-
지원조건
2024년 기준 대출조건
- (대출금액) 최대 30억원(동일 사업자 지원 한도액)
- (대출기간) 3년거치 7년 분할상환 / 운전자금은 2년 거치 4년 분할 상환
- (대출금리) 분기별 변동금리*
* 이자율은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운용요령”에 따른 대표대출금리에서 1.50%P 차감
대출금 용도
- (시설자금) 해당사업 추진에 필요로 하는 제반 사업비를 대상으로 함
- (운전자금) 전년도에 당해사업의 매출실적이 있는 중소기업에 한하여 지원함
전년도 월간 평균매출액을 기준하여 6개월분의 금액 범위 내에서 소요자금을 지원
-
지원규모
2024년 기준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 사업 총 예산 규모 50억원
- 동일 사업장당 최대 30억원 대출 가능
-
참고문헌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헌 및 웹사이트를 참조
- 2024년도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 지원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24-158호, 2024.02.20
(URL :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c01b2801b/69211/view#)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 설명 웹사이트
(URL : https://www.energy.or.kr/front/conts/105003001009000.do)
-
링크1
바로가기
-
링크2
바로가기
|
ESS 시스템 |
융자 |
절약시설 설치사업 |
수요관리설비 설치사업 |
전력저장장치 |
자금융자실 |
상세보기 |

-
신청대상
융자 지원 신청 대상
- 중소기업, 중견기업, 비영리법인, 공공기관
- 에너지 효율혁신 파트너십(KEEP 30) 참여기업의 사업장(KEEP 30 협력업체를 포함함)
-
대상설비상세
지원 대상 설비유형 - 전력저장장치
-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경우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 다만, 신재생에너지 설비와 연계된 시스템은 제외
-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별표 1]의 세부내역 84번
-
지원조건
2024년 기준 보조금 지원 조건
- 지원비율은 소요자금의 70% 이내(중소기업 및 비영리법인은 90% 이내)로 함
- 에너지 효율혁신 파트너십(KEEP 30) 참여기업에 해당하는 대기업은 50% 이내로 함
- 소요자금 범위는 해당시설(중고설비 제외) 및 부대설비의 구입비, 설치공사비, 설계·감리비(기술도입비 포함), 시운전비 등에 한함
2024년 기준 대출 조건
- 3년 거치 5년 분할상환
- 이자율은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운용요령」에 따름
-
지원규모
2024년 기준 해당연도 동일투자 사업장당 지원한도액은 50억원임
-
참고문헌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헌 및 웹사이트를 참조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 -293호, 2024.04.01
(URL :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f724eb567/210792/view)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절약시설투자 자금지원 및 세제지원 제도 소개
(URL : https://www.energy.or.kr/front/conts/105003001008000.do)
-
링크1
바로가기
-
링크2
바로가기
|
ESS 시스템 |
융자 |
ESCO 투자사업 |
절약시설 설치사업 |
ICT(정보통신기술)활용 에너지관리시스템(EMS) |
자금융자실 |
상세보기 |

-
신청대상
융자 지원 신청 대상
- 에너지사용자와 성과확정계약 또는 사업자파이낸싱성과보증계약을 체결한 ESCO 또는 ESCO와 사용자 파이낸싱 성과보증계약을 체결한 에너지사용자
-
대상설비상세
지원 대상 설비유형 - ICT(정보통신기술)활용 에너지관리시스템(EMS)
- ICT기술*을 활용하여 공장(FEMS)등의 에너지를 절약하는 사업
*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2조 제1항 제2호에 따른 소프트웨어, 계측장비, 통신기기 등을 나타냄
-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별표 1]의 세부내역 73번
-
지원조건
2024년 기준 보조금 지원 조건
- 지원비율은 소요자금의 100% 이내(ESCO 투자사업에 해당)
- 소요자금 범위는 해당시설(중고설비 제외) 및 부대설비의 구입비, 설치공사비, 설계·감리비(기술도입비 포함), 시운전비 등에 한함
2024년 기준 대출 조건
- 3년 거치 7년 분할상환(단열 개·보수 사업은 5년거치 10년 분할상환)
- 이자율은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운용요령」에 따름
-
지원규모
2024년 기준 해당연도 동일투자 사업장당 지원한도액은 300억원임
-
참고문헌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헌 및 웹사이트를 참조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 지침,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 -293호, 2024.04.01
(URL :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f724eb567/210792/view)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절약시설투자 자금지원 및 세제지원 제도 소개
(URL : https://www.energy.or.kr/front/conts/105003001008000.do)
-
링크1
바로가기
-
링크2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