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식품

식품

업종개요

광업

식품

식품 농업, 임업 및 어업에서 생산된 산출물을 사람이나 동물이 먹을 수 있는 식료품 및 동물용 사료로 가공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며 육류.수산물.과일 및 채소 가공품,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곡물 가공품, 낙농품 및 기타 식료품과 동물용 사료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으로 구성된다. 또한 식탁용 소금, 화학 조미료 및 건강 보조식품 등과 같이 식료품으로 특별히 가공된 제품과 비식용의 육류 분말, 어분 및 동.식물성 유지를 가공하는 활동도 포함한다. 산지에서 생산물을 시장에 출하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농.임.수산물의 선별, 세척, 정리활동은 제조활동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지난해 우리나라 식품산업 시장은 코로나19와 건강을 중시하는 사회변화에 따라 관련 제품 생산량이 증감하는 특징을 보였다.
주요 특징은 ▲[식품전반] 식육제품 여전한 강세, 햄류와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의 가파른 성장세 ▲[즉석섭취·편의식품] 즉석섭취식품 생산 감소, 신선편의식품·즉석조리식품은 증가 ▲[건강기능식품] 전년 대비 16.3% 증가, 홍삼제품 강세 지속 ▲[업체] 생산실적 1조원 이상 5개사, 상위 순위 변동 등이었다.

산업동향

식품의 제조업 생산 비중

국내 식품산업은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 제조업, 식품 용기·포장제조업, 식육 포장처리업, 식육 가공업, 유가공업, 알 가공업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등을 포괄하는 산업이다.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약 75조 6백억 원으로 작년 대비 2.4% 증가하였다.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5.7%, 국내총생산(GDP) 대비 4.3%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위 : 10억 원, %)

국내산업 대비 식품 등, 축산물,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생산 비중

국내산업 대비 식품 등, 축산물,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생산 비중
연도 국내총생산
(GDP)
제조업
GDP
제조업체 생산실적 제조업
GDP 대비
GDP
대비
합계 식품 등 축산물 건기
2011 1,332,681 379,521 58,596 40,318 17,278 1,000 15.4 4.4
2012 1,377,457 388,010 65,544 43,478 21,013 1,053 16.9 4.8
2013 1,429,445 403,657 72,059 47,388 23,629 1,042 17.9 5.0
2014 1,486,079 408,510 72,971 49,531 22,319 1,121 17.9 4.9
2015 1,564,124 423,652 70,412 46,504 22,775 1,133 16.6 4.5
2016 1,641,786 439,700 73,313 47,834 24,008 1,472 16.6 4.5
2017 1,730,399 477,112 75,059 48,844 24,732 1,482 15.7 4.3
2018 1,782,269 485,281 78,907 52,086 25,093 1,729 16.3 4.4

참고 및 재구성 :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내총생산(원 계열, 명목) 및 제조업 GDP(원 계열, 명목),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2019.08.26

생산액 대비 매출액 추이

생산액 대비 매출액 추이
연도 생산액 매출액 국내판매액 비중 수출액 비중
2005 29,579,376,574 33,335,150,360 31,066,849,937 93.2 2,268,300,423 6.8
2006 32,694,772,305 35,699,307,123 33,699,147,778 94.4 2,000,159,345 5.6
2007 33,147,999,104 37,365,857,444 35,463,084,845 94.9 1,902,772,599 5.1
2008 36,649,627,163 39,298,783,847 36,740,932,012 93.5 2,557,851,835 6.5
2009 40,408,833,378 44,440,638,918 41,851,563,275 94.2 2,589,075,643 5.8
2010 34,548,229,978 38,790,939,006 35,824,107,736 92.4 2,966,831,270 7.6
2011 40,318,186,189 44,448,301,187 40,877,239,579 92 3,571,061,608 8
2012 43,478,331,108 47,327,653,596 43,556,101,062 92 3,771,552,534 8
2013 47,387,774,991 54,028,196,292 49,991,007,845 92.5 4,037,188,447 7.5
2014 49,530,575,375 53,736,286,078 49,648,954,228 92.4 4,087,331,850 7.6
2015 46,503,763,210 56,139,024,556 52,006,304,418 92.1 4,132,720,138 7.9
2016 47,833,643,885 59,000,502,743 54,525,503,576 92.4 4,474,999,167 7.6
2017 48,843,995,314 61,170,907,877 55,714,886,031 91.1 5,456,021,846 8.9
2018 52,085,626,853 63,576,595,612 58,208,760,281 91.6 5,367,835,331 8.4

참고 및 재구성 :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통계포털

주 : 매출액 = 국내판매액(원) + 수출액(원) 수출액은 각 년도 기준환율을 적용하여 원화로 환산함

생산실적이 1조 원 이상인 식품은 포장육, 우유류, 과자, 빵류, 수산물가공품 등 모두 20종으로 조사되었다. 식품별 생산실적은 돼지고기 포장육(6조 1,884억 원) 1위, 쇠고기 포장육(4조 9,963억 원) 2위, 양념육류(3조 3285억원) 3위, 즉석섭취ㆍ편의식품류(3조 40억원) 4위로 작년과 순위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소스류(2조 5,851억 원), 우유류(우유류, 가공유류 포함, 2조 4,232억 원), 빵류(2조 3,445억 원), 기타수산물가공품(2조 2,770억 원), 과자(2조1,741억원), 포장육(닭, 2조 1,648억원)이 10위 안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분야 생산실적은 홍삼 제품이 생산실적이 다소 감소하였다 반등하면서 6,765억 원으로 부동의 1위를 차지하였다.

* 홍삼 제품 : (‘15년) 3,134억 원 → (‘16년) 5,838억 원 → (’17년) 5,261억 원 → (‘18년) 6,765억원

주요 제품 생산 동향 및 시장규모

커피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가공한 것이거나 이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첨가한 것으로 ‘볶은 커피’로 칭해지는 원두커피와 인스턴트커피로 분류되며, 인스턴트커피는 식품첨가물의 배합, 제품 특성 등에 따라 솔루블 커피(Soluble coffee), 조제 커피(커피믹스), 액상 커피(RTD 커피)로 구분된다. 솔루블 커피(Soluble coffee)는 커피 분말을 식수에 용해 시켜 마실 수 있는 커피를 칭하며, 조제 커피(커피믹스)는 솔루블 커피(Soluble coffee)에 설탕과 크림 등을 혼합한 것을 말하며, 액상 커피(RTD 커피)는 바로 마실 수 있도록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말한다.

커피 종류별 시장규모 추이

커피 종류별 시장 규모 추이 표
연도 품목명 생산현황 매출현황
생산능력(T) 생산량(T) 생산액(천원) 국내판매량(T) 국내판매액(천원) 수출량(T) 수출액($)
2017 소계 17,166,508 660,310 1,828,805,735 615,245 2,423,249,542 22,615 179,597,911
볶은 커피 1,261,780 38,081 348,271,891 535,789,133 355,540,227 111 4,280,801
액상 커피 13,494,993 427,985 585,070,618 401,751 773,672,140 7,711 10,957,183
인스턴트커피 433,425 20,709 255,169,752 10,611 210,659,379 8,444 116,911,116
조제 커피 1,976,309 173,535 640,293,474 165,329 903,128,890 6,349 47,448,811
2018 소계 8,276,230 819,763 1,949,883,825 793,731 2,575,909,037 30,039 162,419,695
볶은 커피 1,700,468 42,279 366,321,800 76,782 546,361,189 133 1,395,993
액상 커피 5,083,301 592,643 758,342,670 550,791 975,601,485 17,989 27,180,331
인스턴트커피 403,140 25,403 247,560,235 16,293 202,719,629 6,336 92,400,181
조제 커피 1,089,321 159,438 577,659,120 149,865 851,226,734 5,581 41,443,190

참고 및 재구성 : 식품의약품안전처

18년 커피 생산액은 1조 9,4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하였으며 이중 액상 커피와 볶은 커피 생산이 각각 29.6%와 5.1% 증가하였다.

* 커피 : (’17) 1조 8,288억 원 → (‘18) 1조 9,499억 원

  • 액상 커피 : (’17) 5,851억 원 → (‘18) 7,583 억 원
  • 볶은 커피 : (’17) 3,483억 원 → (‘18) 3,663 억 원
  • 인스턴트커피 : (’17) 2,552억 원 → (‘18) 2,476 억 원
  • 조제 커피 : (’17) 6,403억 원 → (‘18) 5,777 억 원

라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 의하면 라면은 면류의 세부 품목으로 별도 정의는 되어 있지 않지만, 시장에서 판매되는 라면 제품은 「식품공전」의 ‘면류’ 유형 중 유탕면류와 국수의 세부 유형인 호화 건면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라면의 가장 대표적인 식품 유형인 유탕면류의 정의를 살펴보면, 밀가루, 소금, 첨가물, 물을 넣고 반죽하여 제면 롤을 통해 국수를 빼낸 다음 수증기 또는 끓는 물에서 삶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후 튀기고 냉각시켜 포장한 제품을 말한다. 그리고 국수의 세부 유형인 호화 건면의 정의는 밀가루, 소금, 첨가물, 물을 넣고 반죽하여 제면 롤을 이용해 국수를 빼낸 다음 수증기 또는 끓는 물에서 삶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후 건조 시켜 포장한 제품이다.
식품 및 식품첨가물 실적 분류에 따른 제조상의 유형은 포장에 따라 봉지라면과 용기 라면으로 분류되어 있다. 봉지라면은 파우치 형태로 비닐에 내용물이 담겨 있는 포장 형태이며, 용기라면은 컵라면으로 대표되는 Bowl 형태의 포장으로 봉지라면과 비교해 조리방법이 간단한 점이 특징이다.

라면 종류별 시장규모 추이

라면 종류별 시장규모 추이
연도 품목명 생산현황 매출현황
생산능력(T) 생산량(T) 생산액(천원) 국내판매량(T) 국내판매액(천원) 수출량(T) 수출액($)
2017 소계 10,054,469 542,505 1,963,981,799 460,723 2,011,854,616 94,908 417,981,720
유탕면류
(봉지라면)
7,547,991 426,078 1,311,322,055 354,474 1,318,979,483 84,800 356,876,014
유탕면류
(용기면)
2,506,478 116,427 652,659,744 106,249 692,875,133 10,108 61,105,706
2018 소계 3,094,524 1,328,182 1,966,303,414 1,237,389 1,966,674,817 108,212 348,132,705
유탕면류
(봉지라면)
1,818,026 1,046,019 1,284,823,492 964,553 1,246,604,535 95,191 279,174,488
유탕면류
(용기면)
1,276,498 282,163 681,479,922 272,836 720,070,282 13,021 68,958,217

참고 및 재구성 : 식품의약품안전처

과채음료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제2013-14호)에 따르면, 과채 음료의 정의는 과일 및 채소를 주원료로 하여 가공한 것으로써, 직접 또는 희석하여 음용하는 것으로 농축과·채 즙, 과·채 주스, 과채 음료를 말한다.

과채 음료 종류별 시장규모 추이

라면 종류별 시장규모 추이
연도 품목명 생산현황 매출현황
생산능력(T) 생산량(T) 생산액(천원) 국내판매량(T) 국내판매액(천원) 수출량(T) 수출액($)
2017 소계 49,646,696 583,877 695,723,019 536,679 769,501,926 19,064 52,280,346
과.채 음료
-가열
36,150,564 396,847 337,627,066 363,101 382,159,582 14,566 14,282,431
과.채 음료
-비가열
102,338 5,639 9,454,328 5,587 11,551,447 40 700
과.채 주스
-가열
12,183,516 160,576 256,928,717 148,098 273,029,513 3,851 35,548,246
과.채 주스
-비가열
922,437 18,523 87,953,649 17,144 98,086,390 592 2,427,681
기타 두유 287,841 2,292 3,759,259 2,749 4,674,994 15 21,288
2018 소계 18,453,551 614,745 707,827,735 553,211 862,622,402 22,471 57,681,523
과.채 음료
-가열
12,002,236 401,794 344,842,233 360,578 383,436,578 19,774 51,038,574
과.채 음료
-비가열
115,123 3,486 10,036,366 3,243 11,837,717 - -
과.채 주스
-가열
6,249,386 190,937 286,213,852 173,292 374,021,738 2,017 3,331,274
과.채 주스
-비가열
86,806 18,528 66,735,284 16,098 93,326,369 680 3,311,675
기타 두유 - - - - - - -

참고 및 재구성 : 식품의약품안전처

스낵

식품 공전 상에서 과자의 세부 품목은 비스킷, 웨이퍼, 쿠키, 크래커, 한과류, 스낵 과자로 분류되어 있다. 그 중 스낵 과자는 곡류, 감자, 고구마, 콩, 전분, 견과류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유탕(frying), 굽기(roasting), 압출(extruding), 팽화(puffing) 등과 같은 공정을 거친 것을 말한다.

스낵 종류별 시장규모 추이

라면 종류별 시장규모 추이
연도 품목명 생산현황 매출현황
생산능력(T) 생산량(T) 생산액(천원) 국내판매량(T) 국내판매액(천원) 수출량(T) 수출액($)
2017 소계 37,750,451 335,363 2,234,848,476 343,980 2,419,016,878 12,209 80,127,462
과자
(기타)
342,872 51,100 239,107,820 48,211 255,712,337 843 5,291,132
과자
(비스킷류)
742,444 113,987 760,534,871 135,860 841,226,933 3,375 24,842,504
과자
(스낵 과자류)
36,579,853 157,332 1,152,771,837 146,910 1,224,315,683 7,485 47,115,616
과자
(한과류)
85,282 12,944 82,433,948 12,999 97,761,925 506 2,878,210
2018 소계 2,205,022 374,333 2,044,901,977 363,500 2,132,370,464 13,704 84,856,975
과자
(기타)
263,115 45,410 160,900,689 42,237 171,911,902 1,773 7,317,029
과자
(비스킷류)
612,371 107,083 596,981,248 87,235 529,946,445 3,271 21,914,781
과자
(스낵 과자류)
1,196,081 206,792 1,195,388,531 218,642 1,316,259,387 8,556 54,671,610
과자
(한과류)
133,455 15,048 91,631,509 15,386 114,252,730 104 953,555

참고 및 재구성 :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산실적 1조 원 이상 5개사, 상위 1ㆍ2위 업체 변동

생산실적 1조 원 이상인 업체는 식품제조‧가공업체 4곳과 축산물가공업체(유가공업체) 1곳을 포함한 총 5곳이였다.
‘18년 제조업체별 생산실적 1위는 씨제이제일제당(주) 1조 8,534억 원이 2위 롯데칠성음료(주) 1조 8,491억 원, 3위 ㈜농심 1조 8,069억 원, 4위 하이트진로(주) 1조 2,720억 원, 5위 서울우유협동조합 1조531억 원 순이다.
’17년에 2위였던 ‘씨제이제일제당㈜’은 만두류와 즉석섭취ㆍ편의식품 등의 생산실적 상승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탄산음료ㆍ소주 등의 생산실적 증가로 전년도 3위였던 ‘롯데칠성음료㈜’가 2위로 상승하였습니다.

참고문헌1.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년도 식품산업 생산실적”.
2. KOSIS 국가통계포털, “식품첨가물 생산실적(총계)”,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parentId=D.1;D1.2;145_14503.3;#Header)

협력사 안내

  • 이전버튼
  • 다음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