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정유

정유

업종개요

광업

정유

정유 정유산업은 원유를 수입하여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각종 석유제품을 제조하는 산업이다. 가정용 연료인 LPG부터 휘발유, 경유 등 다양한 에너지 연료와 더불어 석유화학의 기초가 되는 원료인 납사도 정유 과정을 통해 생산하고 있다.

정유 과정은 증류, 정제, 배합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증류는 원유의 끓는점을 이용하여 제품을 원유로부터 분리해내는 과정을 말하고, 정제는 불순물 등을 제거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과정, 그리고 배합은 정제된 유분에 대하여 첨가제를 주입하거나 혼합하는 과정을 말한다.

정유 산업의 경우, 유가가 매출원가의 대부분(약 90% 이내)을 차지하기 때문에 유가의 흐름과 정유사의 이익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이동하며, 정유 사업의 수익성을 측정하는데 유가가 매우 중요하게 이용된다. 유가가 지나치게 낮으면 판매에서 많은 수익을 남기지 못하고, 유가가 지나치게 높으면 원가가 증가하여 수익성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수익성이 배럴당 40달러에서 80달러 사이를 수익성이 남는 구간으로 보고 있다.

산업동향

국내 정유 산업 현황1)

1)참고 : 석유연보 > 정유업계 동향

(천B, $/B)

국내 수급현황

국내 수급현황
구분 원유 수입 공급 수요
물량 금액 생산 수입 내수 국제 벙커링 수출
‘18 1,116,281 79,790 1,258,874 341,627 1,600,502 821,457 58,000 531,563 1,524,365
‘17 1,118,167 59,660 1,229,652 314,487 1,544,139 940,083 59,136 509,113 1,508,332
전년비 △ 0.2% 33.7% 2.4% 8.6% 3.7% △ 0.6% △ 1.9% 4.4% 1.1%

출처 : 산업부 에너지산업 주요통계

우리나라는 에너지 해외 의존도가 95% 이상인 에너지수입국이며, 국내 정유사는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와 해외시장 진출 등 노력을 통해 수출을 확대하였으며, 현재는 석유제품만 놓고 볼 때, 수출을 통해 원유수입액의 55% 이상을 회수하고 있고 석유화학제품 수출까지 고려하면 그 규모는 더 커진다, 석유제품은 한 때 국내 수출품목 1,2위룰 차지한 적도 있으나, 최근 수 년간은 유가 하락에 따른 판매액 축소로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다.

국내 수출 5대 품목 및 비중(백만달러, %)

(백만달러, %)

국내 수출 5대 품목 및 비중
순위 2016 2017 2018
품목 수출금액(비중) 품목 수출금액(비중) 품목 수출금액(비중)
1 반도체 62,288(12.6) 반도체 97,937(17.1) 반도체 126,713(20.9)
2 일반기계 44,156(8.9) 일반기계 48,607(8.5) 일반기계 53,567(8.8)
3 자동차 40,155(8.1) 석유화학 44,689(7.8) 석유화학 50,062(8.3)
4 석유화학 36,164(7.3) 자동차 41,690(7.3) 석유제품 46,762(7.7)
5 철강제품 28,535(5.8) 석유제품 35,037(6.1) 자동차 40,899(6.8)

출처 : 산업부 보도자료

‘18년에는 ‘17년 대비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국내 신증설 설비 가동 등에 따른 생산 확대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제품 수출은 35.5%, 12.0% 증가하였으나 세계 경기 둔화 국면 속에 향후 석유 및 석유화학 제품 수요도 갈수록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수출 감소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18년 정유 소비는 전년 대비 0.6% 감소하며 수요 약세가 지속되었다.

부문별 소비추이

(백만B, %)

제품별 소비추이
구분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항공유 납사 LPG 기타 합계
'18 79.7 18.9 167.0 33.7 39.9 451.2 109.8 34.6 934.8
'17 79.6 19.0 168.9 35.8 38.2 458.4 105.1 35.1 940.1
증감(%) 0.1 △ 0.7 △ 1.1 △ 5.9 4.3 △ 1.6 4.4 △ 1.4 △ 0.6

출처 : 산업부 에너지산업 주요통계

국내 제품 가격

‘16년도 이래 유가가 지속 상승함에 따라 주요 수송용 석유제품인 휘발유 / 경유의 국내 가격 역시 완만한 상승세를 보여왔으나 , ‘18년 4분기 유가가 급락하면서 국내 석유제품 가격 역시 급락하였다. 이는 국제유가와 국제제품가격 하락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국제제품가 역시 ‘18년 4분기 급락 현상을 보였다.

국제 제품가격 추이 국제 제품가격 추이

출처 : 오피넷

국내 제품 가격

‘18년도 3분기까지의 유가 상승으로 매출액은 ‘17년 대비 20.5%나 증가하였으나, 4분기 유가 급락 및 이에 따른 정제마진 하락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1% 나 급감하였다. 정유 부문 영업이익은 대규모 재고 평가 손실까지 겹쳐 54.1%나 급감하였다
또한, 국내 정유사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3.4% 로 삼성전자 등 국내 주요 기업과 비교 시 영업이익률이 현저히 낮은 수준이며, 국내 코스피 12월 결산법인 (540개)의 2018년 평균 영업이익률인 8.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숫자이다.

정유사 경영실적

(억원, %)

정유사 경영실적
구분 매출액 영업이익
법인 2018 1,378,408 46,960
2017 1,144,125 79,589
증감 (%) 20.5% △ 41.0%
정유 부문 2018 1,060,752 20,120
2017 871,650 43,855
증감 (%) 21.7% △ 54.1%

출처 : 대한석유협회

국내 주요기업 2018 경영실적 비교

(억원, %)

국내 주요기업 2018 경영실적 비교
구분 정유4사 포스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T
매출액 1,378,408 649,777 2,437,714 968,126 168,740
영업이익 46,960 55,426 588,867 24,222 12,018
영업이익률 3.4% 8.5% 24.2% 2.5% 7.1%

출처 : DART

해외 정유 현황

국제유가는 세계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반기 OPEC 산유국 중심의 감산 합의 이행 및 미국의 이란 제재 재개(’18년 8월) 등에 따라 3분기까지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4분기 들어 세계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원유수요 감소 및 OPEC 감산 완화, 미국의 원유 공급량 증가, 對 이란 원유 수출 제제 예외 조치 등의 영향으로 두바이유는 연고점 84.4$/ 배럴 대비 37% 상당 급락한 52.9$/ 배럴로 마감하였다.

국제유가 추이

 국제유가 추이

출처 : 오피넷

세계 석유 수요는 OECD 국가 모두 전년 대비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수요 증가 폭이 ‘17년 1.51 백만 B/D에서 ‘18년 1.27 백만 B/D 로 축소하였다.
OECD 국가의 석유 수요는 18년 하반기 OECD 유럽과 아시아 국가의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연초 북반구 한파, 미 석유화학 프로젝트 시작, 견고한 미 경제성장률 등에 따른 미국의 수요 증가 폭이 감소 폭을 상쇄하며, ’17년 대비 0.3 백만 B/D 증가하였다.
비 OECD 국가들의 경우 파키스탄/이라크의 천연가스 중심으로의 수요 전환 등 석유 소비 형태 변화로 1분기 석유 수요가 약세를 보였으나, 2분기 이후 세계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며 중국과 인도 수요가 증가세를 견인해, ‘17년 대비 1백만 B/D 증가하였다.

세계 석유수요

(백만B/D)

정유사 경영실적
구분 2017년 2018년
1/4 2/4 3/4 4/4 연간
OECD 47.4 47.9 47.2 48.1 47.8 47.7
비 OECD 50.5 50.6 51.6 51.8 51.9 51.5
합계 97.9 98.5 98.8 99.9 99.6 99.2
전년 대비 증감 OECD 0.45 0.94 0.15 0.46 -0.31 0.31
비 OECD 1.06 0.98 0.56 1.05 1.26 0.97
합계 1.51 1.92 0.71 1.51 0.95 1.27

출처 : IEA, Oil Market Report, March 2019.

’18년 세계 석유 공급은 OPEC의 소규모 감산(37.4백만 B/D, 전년 대비 △ 0.3% 감소 )에도 불구하고, 미국 셰일오일 중심 비 OPEC 국가의 생산증가 (62.7백만 B/D, 전년 대비 4.7% 증가 )로 전년 대비 약 2.7 백만 B/D 증가한 100.1백만 B/D를 기록하였다.
OPEC 국가들은 1분기 감산 합의 이행 기조 속에 베네수엘라와 UAE의 감산 확대로 공급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으나, 이후 베네수엘라 감산 지속과 이란 제재에 따른 이란의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사우디/이라크/알제리 등의 증산이 이를 상쇄하며, 전년 대비 0.1백만 B/D 공급이 줄으드는데 그쳤다. 또한 비 OPEC 국가에서는 미국이 공급 확대를 ‘18년 내내 주도하였으며, 캐나다/브라질/카자흐스탄/북해의 일시적인 공급차질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생산량 확대가 이를 뒷받침하여 공급이 전년 대비 2.8백만 B/D 증가함

세계 석유공급 동향

(백만B/D)

세계 석유공급 동향
구분 2017년 2018년
1/4 2/4 3/4 4/4 연간
OECD 37.5 37.3 37.1 37.6 37.8 37.4
비 OECD 59.9 61.1 62.1 63.4 64.1 62.7
합계 97.4 98.3 99.1 101.0 101.9 100.1
전년 대비 증감 OECD -0.3 0.1 -0.4 -0.3 -0.4 -0.1
비 OECD 0.9 1.7 2.7 3.4 3.4 2.8
합계 0.5 1.8 2.3 3.1 3.0 2.7

출처 : IEA, Oil Market Report, March 2019.

’18년 국제제품 가격은 2분기 이후 글로벌 정제 시설의 가동 확대에도 불구하고, 중국/인도 등 주요 수입국의 수요 증가량을 공급이 충족하지 못하면서 가격 상승을 견인하였으나 하반기 제품 생산이 수요를 추월하며 제품가격 상승을 제한하였다. 이에 따라 원유 가격이 전년 대비 31%나 상승한 테 반해 상승폭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25.8%를 기록하였으며, 원유-제품간 스프레드는 3.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중동을 비롯하여, 중국/인도의 신규 증설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어 제품가격 약세 및 설비 가동률 하락 등이 가시화되고 있다.

원유-제품간 스프레드 비교

원유-제품간 스프레드 비교
구분 2017(A) 2018(B) 증감액 (B-A) 증감률 ((B-A)/A)
원유(Dubai) ① 53.2 69.7 16.5 31.0%
석유제품 주1) ② 65.5 82.4 16.9 25.8%
스프레드 (②-①) 12.3 12.7 0.4 3.3%

주1) 석유제품 : 경질제품(휘/경/등) 평균가격
출처 : KNOC Petronet

참고문헌 1. 석유연보 > 정유업계동향(http://oil3.petroleum.or.kr/sub01/06.php?mode=read&id=166)

협력사 안내

  • 이전버튼
  • 다음버튼